보고서는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 문화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파악을 토대로 분야별 및 가치사슬별 협력방안을 단기, 중기, 장기로 제안했다. 또한 협력 활성화를 위해 우리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방향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인도는 현재 문화산업 규모 세계 14위, 향후 5년간 연간 문화산업성장률 10%로 전망되지만 우리나라와 문화산업의 교류는 미진한 상황이다.
원인은 인도가 지역마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국가 고유의 특성이 시장장벽으로 작용하여 자국 콘텐츠의 시장 점유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인도 문화산업은 최근 저임금과 숙련노동력을 활용하여 영화 및 애니메이션 후반제작 분야 OEM 중심 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나 성장을 위한 자본력 및 기획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즉 우리의 기획력을 바탕으로 인도와 협력한다면 상생의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한편 인도의 관련 및 지원 분야 산업의 경쟁력이 매우 낮아 인도인들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우리나라 멀티플렉스 등 관련 산업 진출이 유망한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보고서는 방송·영화·애니메이션 각 분야의 가치사슬 단계별·시기별로 협력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완제품 및 포맷 수출(리메이크) 등 투입비용이 크지 않고 실패의 위험성이 낮은 분야의 진출을 제안하는 한편 해외홍보, 상영관 확보 등 상호 노출 확대, 해외 로케이션을 통한 협력기반 조성을 제시하였다.
중기적으로는 양국의 경쟁력을 고려한 공동제작, 하드웨어 진출, 인력 교육 및 교류 등의 협력사업 추진을 제시했다.
마지막 장기적으로는 인도의 시청각 부문 수출 경쟁력을 활용하여 글로벌 마켓을 향하는 공동의 전략 수립과 함께 가치사슬 전 영역에 걸친 협력의 확대를 제시했다.
이러한 협력의 확대를 위해 우리 정부의 △CEPA 시청각공동제작협정을 활용하기 위한 분야별 양해각서 체결 △진출·협력을 위한 정보제공 및 의견조율을 담당하는 전담기관 설치 △콘텐츠 쇼케이스 및 바자(bazar) 지원을 통한 문화 인지도 제고 등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문화산업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끄는 새로운 동력이자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이다.”라고 말하면서 “13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는 매력적인 시장이며 한류 불모지인 인도에 우리기업은 장기적 안목의 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양국 간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 전문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홈페이지(www.kiep.go.kr)의 발간물 코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