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영일 기자 = 롯데월드몰(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과 영화관에 내려졌던 영업정지 명령이 8일 서울시 발표를 통해 144일 만에 해제될 예정이다. 또 중단됐던 콘서트홀 공사도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이제 롯데월드몰에게 남은 과제는 ‘사전 주차 예약제도’이다.
실제로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을 자처했던 서울 송파구 지역 강감창 시의원 등은 "공사조업 차량을 빼면 롯데월드몰 주차장의 하루 이용량은 500여대로 이는 주차면수에 15%에 불과하다"라며 "사전 주차예약제의 시행으로 인근 아파트 단지와 노상에 불법주차가 기승을 부려 피해가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지적은 송파구의회에서도 반복됐다. 이 지역 이혜숙의원(삼전동·잠실3동)도 지난달 30일 제229회 송파구의회 5분 발언에서 "서울시는 미봉책에 불과한 근시안적 사전 주차예약제를 즉시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 의원은 "롯데월드몰 주차장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사전 예약을 해야 하고 수백만 원대 고가의 제품을 사더라도 10분당 1000원의 주차비를 지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 규제에 따라 최대 2776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롯데월드몰 주차장은 시간당 최대 700대만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며 "1일 3회전만 하더라도 9000대 가까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평일 뿐 아니라 주말에도 텅텅 비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하지만 “롯데와 인접한 석촌동·소아동·삼전동 일대 잠실 주공5단지와 레이크팰리스, 장미 아파트를 비롯한 인근 아파트 주차장은 지금 주차전쟁 상태”로 "참다못한 주민들이 아파트 단지내에 불법주차 금지 현수막 경쟁까지 내걸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부작용 때문에 서울시와 함께 롯데몰 수원점에 주차예약제를 도입했던 수원시는 지난 3월 롯데몰수원점의 평일 주차예약제를 폐지하고 주말과 세일기간에만 운영토록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