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몰(제2롯데월드)에 앞으로 남은 과제는?

2015-05-08 00:03
  • 글자크기 설정

근시안적 미봉책 질타 ‘사전 주차예약제’…수원시는 변경

[롯데월드몰 주변 도로에서 관계자가 주차 예약제를 알리는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아주경제 정영일 기자 = 롯데월드몰(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과 영화관에 내려졌던 영업정지 명령이 8일 서울시 발표를 통해 144일 만에 해제될 예정이다. 또 중단됐던 콘서트홀 공사도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이제 롯데월드몰에게 남은 과제는 ‘사전 주차 예약제도’이다.
‘근시안적 미봉책’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이 예약제는 서울시가 교통개선책의 일환으로 롯데월드몰 개장 당시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던 제도이지만 실효성을 거두고 못하고 있다. 오히려 롯데월드몰 주변 아파트 주차장만 몸살을 앓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을 자처했던 서울 송파구 지역 강감창 시의원 등은 "공사조업 차량을 빼면 롯데월드몰 주차장의 하루 이용량은 500여대로 이는 주차면수에 15%에 불과하다"라며 "사전 주차예약제의 시행으로 인근 아파트 단지와 노상에 불법주차가 기승을 부려 피해가 고스란히 지역주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지적은 송파구의회에서도 반복됐다. 이 지역 이혜숙의원(삼전동·잠실3동)도 지난달 30일 제229회 송파구의회 5분 발언에서 "서울시는 미봉책에 불과한 근시안적 사전 주차예약제를 즉시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 의원은 "롯데월드몰 주차장을 이용하려면 반드시 사전 예약을 해야 하고 수백만 원대 고가의 제품을 사더라도 10분당 1000원의 주차비를 지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 규제에 따라 최대 2776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롯데월드몰 주차장은 시간당 최대 700대만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며 "1일 3회전만 하더라도 9000대 가까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평일 뿐 아니라 주말에도 텅텅 비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하지만 “롯데와 인접한 석촌동·소아동·삼전동 일대 잠실 주공5단지와 레이크팰리스, 장미 아파트를 비롯한 인근 아파트 주차장은 지금 주차전쟁 상태”로 "참다못한 주민들이 아파트 단지내에 불법주차 금지 현수막 경쟁까지 내걸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부작용 때문에 서울시와 함께 롯데몰 수원점에 주차예약제를 도입했던 수원시는 지난 3월 롯데몰수원점의 평일 주차예약제를 폐지하고 주말과 세일기간에만 운영토록 변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