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한·중 FTA 통해 98조원 중국 물시장 선점해야”

2015-05-03 11: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연내 한·중국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앞두고 물 산업의 중국 진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오는 2018년 약 98조원대로 예상되는 중국 물시장을 둘러싸고 미국, 일본 등 주요 경쟁국과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한·중 FTA를 계기로 한국 물산업의 수출에 있어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김극수)은 3일 발표한 ‘물산업의 한·중 FTA 활용방안-대중국 수출유망품목분석’ 보고서를 통해 한·중 FTA 발효 즉시 중국으로 수출되는 연간 약 5억 5700만 달러 상당 물산업 품목의 관세가 철폐되어 수출이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진단했다. 이는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출한 것으로 2014년 물산업 총수입액의 35%에 해당한다.

중국 물시장에서 우리 제품과 가장 치열한 경쟁을 보이는 것은 일본, 독일, 미국제품 순이었으며, 이들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만 중국과 FTA 발효를 앞두고 있어, 0~25%의 물산업 관련품목 관세 철폐가 수출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보고서는 8% 관세율이 발효 즉시 철폐되는 ‘밸브의 부분품’을 포함해 중국내 물산업 수입시장 점유율이 높거나, 수출규모가 크고 한·중 FTA로 5년 이내 무관세화되는 26개 품목을 물산업 수출 유망품목으로 제시했다.

또한 국내 시장에서 실적 확보가 어려웠던 우리 기업들에게 중국 물산업 서비스시장은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에 있어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중 FTA 서비스 분야 협상 결과에 따라 중국 하수서비스 시장이 전면 개방되고 후속 협상과정에서 추가적인 개방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유다.

우리 기업들이 한중간 기관이나 지자체 등 다양하게 구축되어 있는 여러 협력체계를 활용해 1000만명 미만의 중소규모 중국 하수처리서비스 시장을 공략한다면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장현숙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물시장은 규모와 성장, 지리적 여건 등에서 매력적인 시장임에 분명하지만 자국 산업보호에 힘입어 중국 물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하다”면서 “장기적으로 중국 물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선 중국 시장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물산업은 제조(설비·관망·펌프·화학약품 등), 건설(토목·플랜트), 서비스(설계·운영·관리) 부문으로 나뉘며, 매년 4.3%의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어 세계 각국이 미래전략산업으로 육성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