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남-시진핑, 반둥회의서 접촉 無…악수 정도만 했을듯

2015-04-25 19:4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북한과 중국의 최고위급 지도자가 최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다자회의에 함께 참석했지만, 양측의 의미 있는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9∼24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AA) 정상회의(일명 반둥회의)에 참석했다.

시 주석은 2013년 5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로 베이징을 찾은 최룡해 당시 북한군 총정치국장을 만난 적이 있지만, 김정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나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 위원장을 만난 적은 없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오른쪽)과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이 최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다자회의에 함께 참석했지만, 양측의 의미 있는 접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중국신문사]


중국 정부는 시 주석이 김 위원장과 공식, 비공식 접촉을 할 가능성에 대해 "결정된 것이 없다"는 태도를 보였지만, 반둥회의 성격을 고려할 때 어떤 식으로든 접촉할 가능성은 적지 않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의 만남은 김 제1위원장의 방중이나 북중 정상회담과 관련해 의미심장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일단 중국 외교부 발표나 중국 관영매체 보도 중에서는 두 인물이 접촉했다는 보도는 25일 현재까지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중국언론은 전날 김 위원장이 반둥회의 연설에서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내용만 별도의 분석이나 논평 없이 보도했다.

베이징 외교가도 두 인물이 반둥회의서 공식적, 비공식적 만남을 가졌다는 동향은 전혀 감지돼지 않았다며 '접촉 불발'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한편, 중국 내 북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김 제1위원장이 내달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제2차대전 승전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더라도 북중 정상회담이 열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홍콩 봉황위성TV 시사프로그램 진행자 뤼닝스(呂寧思)는 이날 중국 외교부가 최근 러시아를 무대로 한 북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묻는 말에 "양국 정상회담은 양측의 편리한 시기를 봐야 한다"고 대답한 것과 관련, 이는 모스크바에서의 정상회담에 중국이 동의하지 않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시 주석과 김 제1위원장은 러시아에서 기껏해야 악수하는 수준에서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점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