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17/20150417173230790400.png)
[사진= 아주경제 DB]
홍 장관은 이날 취임 한달을 맞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실질적 성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도 더 노력해야 할 것이고 북한도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홍 장관은 또 민간교류를 활성화 차원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 조건을 완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도적 지원 단체들이 대북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대북 지원 사업자로 지정이 돼야 하는데 지정요건이 생각보다 까다로운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며 "(대북 지원 사업자로 선정되는) 조건을 완화해서 보다 많은 단체들이 대북 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인도적 지원과 민간교류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줄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장관의 이런 발언들은 오는 24일 종료되는 한미군사훈련인 독수리훈련 후 6·15 공동선언 15주년과 광복 70주년 등을 계기로 남북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상승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이와 관련,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북한을 당국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는 방안에 대해 "'멍석을 나름대로 깐다고 깔았는데, 이 정도 깔았으면 나올만 한데 왜 안나오지'라는 생각도 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멍석이 뭐가 없는지 계속 생각하고 있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남북관계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통일부 장·차관의 방북 등 "가능하면 무엇이든 해봐야 할 것"이라며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해 모든 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접촉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신뢰프로세스가 성과가 없다는 비판에 대해선 "가동이 되고 있다"면서 "나한테 손해를 끼치는 행동을 하면 안된다는 것을 상대방한테 분명히 알려 상대방이 그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신뢰를 쌓는) 굉장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갈등을 빚고 있지만 2013년처럼 장기 중단사태로 비화되지 않고 있는 점을 신뢰를 쌓는 과정이 작동한 사례로 들었다.
이 당국자는 남북이 정치·군사적 사안 등 보다 큰 의제를 다뤄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중요한 것은 내가 배신을 당하면 안된다는 것"이라며 "작은 일은 하다 혹시 틀어지면 손해가 적으니 감수하고 또 시도할수 있지만 협력의 단위가 커졌을 때 배신당하면 손해가 크고 좌절감이 더 클 수 밖에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정부가 북한과의 당국간 대화가 성사되면 천안함 폭침에 따른 대북제재인 5·24조치 해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선 "5·24조치를 풀 생각이 있으니까 대화를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민간차원에서 6·15 남북공동행사의 서울 개최가 추진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정치적 성향이 강한 민간 교류는 조금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정치적인 부분이 없어진 민간교류 차원의 행사라면 정부도 (승인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간 개성공단 최저임금 인상 갈등에 대해선 "임금 문제는 개성공단의 핵심 문제"라며 "정부는 이 부분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북측과) 합의해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일부 기업들이 북한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솔직히 그 부분을 걱정하고 있다"면서 "당국자들이 기업 관계자와 계속 만나서 협조를 요청하고 있고 그런 협조를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