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시장 'KCU'로 개점휴업 면했지만…

2015-04-13 17:14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탄소배출권시장이 상쇄배출권(KCU) 상장으로 개점휴업 상태에서 벗어나는 모습이지만, 안착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더욱이 탄소배출권시장 거래량은 배출권 제출 직전인 내년 상반기에야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격적인 평가는 아직 이르다는 얘기다. 상쇄배출권에 대한 제약도 문제다. 공급물량 자체도 수요에 비해 여전히 적다.
13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소 탄소배출권시장에 6일 처음 상장한 상쇄배출권은 이날까지 총 7만9658톤이 거래됐다. 거래대금은 8억1976만원으로 집계됐다.

상쇄배출권은 탄소배출권 할당 대상업체가 외부사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인증실적을 사들여 이를 배출권으로 전환한 것을 뜻한다. 즉,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량을 받은 525개 기업이 제3자 기업에서 배출권을 사올 수 있다는 얘기다. 환경부는 지난달 말 휴켐스와 코리아카본매니지먼트, 에코아이, 와이그린 등 4개 업체에 대해 191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인증실적을 발급한 바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된 것은 지난 1월 문을 연 배출권시장의 거래 부진을 털기 위해서다.

1월 12일 개장한 온실가스 배출권시장은 16일 40톤을 마지막으로 거래가 전혀 없다. 5일간 총 1380톤이 거래되는 데 그쳤다. 현재까지 거래대금은 총 1155만8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공급요인인 할당량이 너무 낮게 책정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상쇄배출권이 일반배출권에 비해 거래량 면에서 앞서는 것은 이 때문이다. 수요만 있고 공급은 없는 상태에서 부족한 물량을 외부로부터 들여와 채울 수 있는 것이다. 기업들이 배출권 할당량을 맞추지 못하면 과징금을 내야 한다.

이날 종가를 보면 일반 배출권은 1만100원이지만 상쇄배출권은 1만450원으로 일반 배출권보다 더 높게 형성돼 있다. 상쇄배출권의 경우 업체가 정부에 제출해야 하는 배출권에서 10%까지만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어, 비슷하거나 더 낮을 것이란 정부의 예상과는 거리가 멀다. 시장에 잠재해 있는 매수자가 상당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물론 상쇄배출권도 상장한 지 겨우 6일째여서 아직 제대로 평가하기는 이르다. 실제로 9일과 13일 이틀은 거래가 없었다.

윤석윤 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상무는 "이론적으로는 제약이 없는 일반배출권 가격이 더 높은 것이 일반적인데, 일반배출권 매물이 적다보니 매수자들이 호가를 좀더 높인 것일 뿐 큰 의미는 없다"면서 "실제로 배출권을 제출하고 차입이 가능한 것이 내년 6월인 만큼 2016년 2분기에 거래 물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기업들의 감축 규모 집계와 물량이 본격적으로 나온 이후에 평가가 적절하다는 뜻이다. 

일각에서는 시장형성을 위해 운영방법을 더 유연하게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월이 가능한 데다 거래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므로 업체들이 배출권 거래에 적극 나서기 어려운 구조"라며  "정부가 보유물량을 일부 풀고 공급물량에 대한 적절한 신호를 주면서 연중 거래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