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10/20150410134018418110.jpg)
▲ 바짝 마른 몸의 북한 어린이들이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사진= 휴먼라이츠나우 제공]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북한에서 임신부가 출산 후 기본적인 의료지원과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해 심각한 산후 후유증을 겪는 등 심각한 식량난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지원은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 전체 인구 2462만명 가운데 70%가(1800만명)이 기본적인 생활을 하기 위한 식량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유엔은 밝혔다.
북한에서 근무하는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관 굴람 이사카이는 최근 ‘미국의 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어린이,노인,임신부 등 200만명이 극심한 식량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임산부와 신생아 35만명은 기본적인 의료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사회의 지원은 해마다 줄고 있다.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규모는 2004년 3억달러(약 3200억원)에서 2014년 5000만달러(약 540억원)으로 급격하게 축소됐다.
굴람 이사카이는 “북핵문제를 둘러싼 북한과의 금융거래 차단 때문에 자금 지원 통로가 막혀 국제사회의 북한 지원이 어려워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의 잇단 핵무기 개발 의혹도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꺼리는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