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거북' 시애틀미술관서 52년..덕종어보 귀환

2015-04-01 16:21
  • 글자크기 설정

[나선화문화재청장 기증자 유족(외손자 Mr. Frank S. Bayley) 시애틀미술관 관장(Ms. Kimerly Rorschach)]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 "이 어보가 이제는 추방생활을 청산하고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면서 "(어보 손잡이를 장식한) 왕실 거북은 52년에 걸친 시애틀 생활을 행복하고 편안한 때로 기억하게 될 것이다"

덕종어보를 수집해 시애틀미술관에 기증한 고 토머스 스팀슨(Mrs. Thomas D. Stimson)의 외손자 프랭크 베일리(Mr. Frank S. Bayley) 씨는 1일 덕종어보 반환기증식에 참석해 "시애틀에서 이 덕종어보는 한국에서 온 대사(ambassador)였으며, 한국문화의 상징이었다. 적어도 외할머니는 그렇게 생각하셨다"고 말했다.
 미국으로 유출돼  시애틀미술관이 52년간 소장 중이던 조선 덕종어보(德宗御寶)가 한국으로 공식 반환됐다.

문화재청은 1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증식을 열고 이를 돌려받았다.

이날 기증식에서 시애틀미술관 키멀리 로샤흐(Ms. Kimerly Rorschach) 관장이 내한, 나선화 문화재청장에게 직접 어보를 넘겼다.

프랭크 베일리씨는 한"국 미술, 특히 고려청자를 사랑한 외할머니가 타계하기 전 마지막으로 미술관에 기증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외할머니는 1931년 외할아버지가 비행기 사고로 돌아가시자, 남편을 기념하는 뜻으로 이후 타계할 때까지 약 30년 동안 고미술품을 수집해 꾸준히 미술관에 기증했다는 것.
 

[덕종어보 ]


미국 시애틀미술관이 1일 한국 정부에 공식 반환한 조선 덕종어보는 재질이 황동에 금도금이며 무게는 4.45㎏이다. 도장을 찍는 면인 인판(印板)은 가로세로 각각 10㎝크기다.

덕종어보는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죽은 아버지 덕종을 기려 1471년 온문의경왕(溫文懿敬王)이라는 존호를 올리면서 제작한 것이다. 덕종(1438∼1457)은 세조의 맏아들로 세자로서 20세에 요절해 고양시 경릉에 묻혔다. 그의 어보는 원래 종묘 영녕전 덕종실에 있었다가 유출됐다.

이 어보는 1943년 종묘지초고라는 기록을 통해 이때까지만 해도 종묘에 봉안했다는 사실이 확인됐지만 그 이후 언제인가 해외로 유출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