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혈세를 들여 경유차의 매연 저감장치 등 각종 저공해화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공기질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9일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정훈 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강동1)에 따르면 연도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당 2012년 41㎍, 2013년 45㎍, 2014년 46㎍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전에는 줄곧 감소세였지만 최근 다시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경유버스 및 청소차량 1만376대를 CNG차량으로 바꿨고, 올해 저공해사업과 CNG 차량 교체 예산에 각각 353억원, 85억원을 편성했다.
초미세먼지 또한 그다지 나아질 기미가 없다. 2008년 1㎥당 26㎍에서 작년 24㎍로 불과 2㎍ 감소하는데 그쳤다. 농도변화의 추이가 겨우 환경기준(25㎍/㎥)을 넘나들고 있다. 이 같은 수치로 공기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는 게 이정훈 의원의 판단이다.
서울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뉴욕, 런던, 도쿄 등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도시들과 비교해도 현저히 높다. 2012년 기준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1㎥당 런던 19㎍, 파리 27㎍를 기록한데 반해 서울은 41㎍였다.
이에 따라 이정훈 부위원장은 공해 차량의 수도권 진입제한과 별도 환경통행료 부과 등 강력한 교통수요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부위원장은 "비산먼지와 생물성연소를 뺀 미세먼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저공해사업 이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한 재검토를 통한 효율적 대책수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