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자금지원 요청에 은행권 손실 위기

2015-03-19 07:4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부실기업들이 출현하면서 은행권 실적에 비상등이 켜졌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 대한전선, 모뉴엘 등으로 지난해 1조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던 은행권이 올해 1분기에도 부실기업 문제로 손실 위기에 처했다.
최근 러시아 유전개발 및 아프리카 니켈광산 관련 비리혐의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경남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수년간 2조2000억원의 자금을 지원받았지만 회생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액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될 위험에 처해 2300억원 이상의 추가자금지원이 필요하지만 채권단 내에서는 부정적인 기류가 지배적이다.

대한전선 역시 한국거래소로부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험에 처했다. 채권단은 2012년 자율협약 후 대출 7000억원 출자전환, 5200억원 신규대출, 1600억원 추가대출 결의 등 1조원이 넘는 금액을 대한전선에 지원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분식회계혐의로 채권단은 2000억원 이상의 평가손실을 입었으며 대부분의 자본이 잠식돼 거래소가 관리종목 지정을 경고했다.

SPP조선의 경우 2010년 채권단과 자율협약에 들어간 후 5년간 6000억원가량의 지원을 받았으나 최근 4850억원의 추가지원을 요청했다. 조선업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경영난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채권은행들이 추가지원을 거부해 우리은행,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채권단 내 정부가 소유한 은행과 기관들만 지원하기로 했다.

성동조선해양에 대한 지원 여부도 불투명하다. 성동조선 역시 2010년 자율협약에 들어가 지금까지 2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받았다. 최근에는 선박 건조자금으로 4200억원 추가지원을 요구했다.

이들 부실기업에 대해 이달 내 지원하거나 지원을 결정해야 하는 금액은 1조2550억원에 달해 은행권에서는 순익이 급감한 지난해 4분기와 같은 상황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3분기 1조7000억원이었던 은행권 순익은 4분기 8000억원으로 급감했다. 우리은행은 1630억원의 적자까지 냈다.

이에 은행권 안팎에서 부실기업 문제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