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정부가 규제 걔혁을 통해 기업활동의 자유도를 높이겠다고 발표했으나 정작 서비스업 관련 규제는 지난해보다 13.5% 증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정부가 지난 해 3월 20일 열린 제1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경제규제를 연내 10% 감축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7대 유망 서비스업 또한 규제 완화를 통해 집중 육성하겠다고 공표했으나 오히려 규제는 증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비스업 규제 양적규모는 여전히 제조업의 10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해 제조업 규제 수는 338개, 서비스업은 3601개로 서비스업 규제 수는 제조업 규제 수 대비 약 10.7배였으나, 올해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집중육성 대상으로 선정한 7대 유망 서비스업의 경우, 오히려 7개 전 분야에서 규제 수가 늘어나 전년대비 15.7%(345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해 7대 유망 서비스업 규제 수는 2199개였으나 올해는 345개 늘어난 2544개를 기록했다. 7대 유망 서비스업에서 늘어난 345개의 규제 증가분은 올해 늘어난 485개의 서비스업 규제 수의 71.1%에 해당한다.
세부적으로는 규제 증가 수에서 금융·보험업이 161개로 지난해보다 가장 많이 늘었으며, 출판·방송·정보통신이 22개로 가장 적었다. 전년대비 증가율로는 의료·보건·복지서비스 분야가 24.4%로 가장 많이 늘었고, 운송·창고업 부문이 7.2%로 가장 적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늘어나는 서비스업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육성 법안은 국회에 장기간 계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경제활성화 중점법안 중에서 국회 계류 중인 서비스업 관련 법안의 미처리 기간을 산출한 결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관광진흥법 등 5개 법안 평균 601일(약 1년 8개월)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관광진흥법’,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의 경우 지난해 정부의 ‘서비스업 활성화’ 기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류 중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서비스업은 현재 사면초가”라고 진단하고 “서비스업은 우리나라 GDP의 약 60%, 전체 고용의 7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핵심적인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규제는 늘고 서비스업 진흥정책인 서비스업발전기본법, 관광진흥법 등은 계류 중인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유 본부장은 “조속히 정책적 환경을 구축하여 내수활성화와 저성장 기조 극복에 서비스업이 핵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