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매립과 연계하여 신항 증심사업비 수십억 절감

2015-03-10 14:39
  • 글자크기 설정

인천해수청, 경제청, 항만공사 간 긴밀한 협업시스템 성과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8천TEU급 대형선박의 상시입출항을 위해 항로의 수심을 증대시키는 증심준설 공사(인천지방해양수산청 시행, 6월 착공 예정)를 앞둔 상황에서 송도 국제도시(인천경제자유구역청 시행) 매립토를 증심 예정구역에서 준설하기로 함으로써 수십억 이상의 국가 및 지자체 예산을 절감하게 되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청장 지희진)은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항만공사 등과 함께 송도 11-1공구 매립사업과 연계함으로써 증심준설을 앞둔 인천신항의 항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경제청이 2011년부터 진행해온 ‘송도 11-1공구’ 매립사업이 양질의 사질성분 매립토 확보를 위한 준설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경제청은 이의 해결을 위해 자체적으로 매립토를 확보해오던 구역에서 준설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이 지역은 불과 몇 개월 후면 증심준설이 시행될 구역과 인접해 있어서 해수청으로부터 항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매립준설을 증심구역에서 시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기관간 수차례 협의를 진행하여 경제청에서 증심 예정구역에서 필요한 양질의 준설토를 확보하고, 이에 따른 사업비는 상호 분담하기로 하는 합의안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시너지효과는 상당하다. 해수청에서는 인천신항 개장(2015.5.) 여건 개선은 물론 항로증심 준설사업비를 대규모로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경제청에서도 ‘송도 11-1공구 공유수면매립공사’ 준공을 위한 양질의 매립토를 저렴하게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IPA에서도 인천신항 개장 이전에 일부 저수심(3항로) 구간 해소로 선박 통항 안정성 확보 및 신항 물동량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력방안은 해수청, 경제청, 인천시, 항만공사 등 인천항과 관련된 공공기관들의 협의체인 ‘인천신항 2030 TF'에서 마련되었다.

해수청은 송도 일대에서 대규모 항만과 도시개발이 진행되는 점에서 착안하여 지난해부터 건설관계자들로 구성된 TF를 조직하여 여러 가지 현안사항을 해결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번 협업시스템을 더욱 공고히 하는 등 예측 가능한 개발행정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인천신항 개발사업을 더욱 원활하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