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09/20150309091958867171.jpg)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정영일 기자 = 유통업계가 모바일에서 돌파구 찾고 있다. 대형마트는 물론 홈쇼핑까지 가세하고 있다.
반대로 모바일에서 강세를 보였던 온라인 마켓이나 소셜업계는 기존 영역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이마트 매출은 0.9% 증가에 그쳤고,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각각 1.5%, 7.7% 감소했다.
반면 모바일 매출 신장률은 이마트 200%, 홈플러스 184.7%, 롯데마트 166.5%를 기록했다. 전체 매출 비중은 낮지만 성장 잠재력은 큰 편이다.
이마트몰 매출은 2012년 5450억원, 2013년 5900억원, 지난해 6000억원으로 최근 3년동안 10.1%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 매출은 2012년 57억원으로 전체 이마트몰 매출의 1%에 불과했지만 2013년 500억원(8.5%)으로 신장했다. 지난해에는 1500억원에 달해 온라인 매출의 25%를 차지했다.
홈플러스도 마찬가지다. 전체 인터넷 쇼핑몰 매출이 2013년 5500억원에서 지난해 8000억원으로 45.5% 늘어난 가운데 모바일 매출 비중은 14%에서 27.4%로 늘었다.
모바일 매출 비중은 올해 들어 1월에 39%로 늘어난 데 이어 설 연휴 기간인 지난달 16∼22일에는 사상 최고치인 45.1%를 기록했다.
이 업체에서 PC·모바일 접속 고객 비중은 지난해 9월 처음으로 모바일 비중이 PC를 제치고 50%를 돌파했다. 지난 1월 말에는 66%까지 상승했다.
롯데마트몰의 모바일 매출 비중도 2013년 10%에서 지난해 21.2%로 상승했다. 작년 매출 신장률은 온라인 전체 19.2%, 모바일 166.5%다.
이처럼 '모바일 장보기' 활성화가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자 업체들은 모바일을 중심으로 온라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마트는 작년 9월 오프라인 매장 상품 전시를 그대로 모바일 화면에 구현한 '이마트 모바일 가상 스토어' 앱을 선보였다.
홈플러스도 유아용품을 선별해 제안하는 '큐레이션 서비스', 개개인이 자주 구매하는 상품을 추천해주는 '개인 맞춤형 전단' 등을 제공하고 있다.
롯데마트 역시 의무휴업으로 놓치는 주말 매출을 잡기 위해 일요일 자정에 사라지는 주말 전용 '신데렐라 쿠폰' 등 모바일 특화 쿠폰을 지급하고 있다.
홈쇼핑도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다. 현대홈쇼핑 매출 가운데 지난해 모바일 취급고는 2922억원에서 올해는 두 배 가까이 성장한 569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모바일 강자였던 온라인 오픈 마켓과 소셜 업체들은 입지가 크게 축소됐다. 때문에 이들은 최근 '큐레이션 쇼핑'을 전면에 내세워 위기를 돌파할 계획이다.
'큐레이션 쇼핑'은 미술관 큐레이터가 좋은 작품만을 선별해 추천해 주듯 오픈마켓 전문가들이 최신 유행과 가성비까지 고려해 우수상품을 골라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