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예탁결제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ELS와 파생결합증권(DLS) 발행규모는 4조2145억원(5.00%) 늘어났다. 이는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7489억원(0.94%) 늘어난 것과 비교 하면 5배 이상 높은 것이다.
ELS·DLS 발행 잔액 역시 지난 5일 기준 88조4353억원에 이르러 국내외 주식형 펀드 설정액(80조508억원)을 10.47%(8조3845억원) 웃돌았다.
2013년 말 ELS·DLS 발행잔액(63조1802억원)이 주식형 펀드 설정액(85조4785억원)을 20조원 이상 밑돈 것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다.
펀드가 약정 수익률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과 비교하면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은행과 증권사도 ELS를 주력 상품으로 권하고 있다.
반면 펀드 상품을 판매하는 자산운용업계에선 판매사들의 'ELS 밀어주기'가 지나치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현대차나 현대중공업, OCI 등을 기초자산으로 삼은 종목형 ELS·DLS는 지난해 원금 손실(녹인) 위험에 처반 바 있다.
한 대형 자산운용사 대표는 "증권사 등이 ELS를 확정금리 상품처럼 고객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며 "불완전판매 논란이 나올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대외변수에 취약한 만큼 변동성 또한 크다"며 "지수형 ELS도 안전한 상품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판매사들이 중위험·중수익 상품을 찾는 고객에게 일단 ELS부터 권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증권업계는 주도권을 뺏긴 자산운용업계의 불만일 뿐 근거가 미약하다는 입장이다.
조완제 삼성증권 상품개발팀장은 "시중금리 하락에 따라 투자자들의 눈높이가 낮아진 상황"이라며 "무리하게 고수익을 추구하는 ELS를 운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원금 손실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며 "불완전판매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ELS·DLS 시장 진단 및 건전화 방안' 보고서에서 불완전판매 및 불공정거래의 개연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근절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지수형 ELS는 투자자의 손실 위험성이 작지만, 종목형 ELS는 공매도 세력 등이 원금 손실을 유도할 수 있다"며 "신종 유형의 불공정거래가 일어날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관련 공시를 강화해 발행자와 투자자 간의 정보 비대칭을 줄여야 한다"며 "암행감찰(미스터리 쇼핑) 등을 통해 불완전판매 가능성을 근절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