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2/20/20150220005314842599.jpg)
[2차 유해 발굴 예정지]
아주경제 모석봉 기자 =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 발굴 공동조사단(이하 공동조사단)은 오는 23일 오전 10시 대전 산내 골령골 유해발굴지 앞에서 2차 유해 발굴을 진행한다.
이번 2차 유해 발굴 지역은 한국전쟁 전·후 대전형무소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이 학살당한 후 매장된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당시 희생자들은 충남지구 CIC, 제2사단 헌병대, 대전지역 경찰 등에 의해 법적 절차 없이 집단 학살됐다.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0년이 넘었지만, 한국전쟁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들에 대한 유해들은 전국 곳곳에 아직까지 방치돼 있다.
이에 한국전쟁유족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족문제연구소, 민주화운동정신계승국민연대, 4.9통일평화재단, 포럼진실과정의, 장준하특별법제정시민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해 2월 18일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을 출범했다.
공동조사단은 지난해 2월 24일부터 3월 4일 간에 걸쳐 경남 진주 명석면 용산리 ‘진주지역 보도연맹사건 관련 민간인 학살 희생자’에 대한 1차 유해발굴조사를 통해 최소 39명의 유해와 탄두와 탄피, 버클 등 다수의 유품을 발굴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대전지역에서도 '한국전쟁기 대전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 발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 공동조사단과 함께 유해발굴에 나서기로 했다.
진실화해위원회가 진실규명과 신원을 확인한 희생자 수는 493명에 지나지 않아 진실규명이 제대로 되지 못했다. 또한 2007년에 있었던 진실화해위원회의 유해발굴에서는 34구의 유해만 발굴했을 뿐, 가장 많은 유해가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은 발굴을 추진하지 못했다.
이번 공동조사단의 유해발굴에는 대전지역 시민단체들도 나섰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 등 총 19개의 대전지역 시민단체가 ‘한국전쟁기대전산내민간인학살유해발굴공동대책위원회’를 발족해 공동조사단의 유해발굴에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김종현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 회장은 “대전 산내 골령골이 하얗게 질렸다. 핏빛으로 물들었다. 그럼에도 반세기가 흐르는 동안 가슴에 묻고 살아왔다”면서 “이번 유해발굴이 비록 작은 면적,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유가족들에게는 뿌리째 시들어가다 단비를 만난 격”이라며 유가족들도 더욱 힘을 내 국가폭력과 인권침해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일에 힘을 보태겠다고 전했다.
한국전쟁 당시 무수히 많은 민간인들이 뚜렷한 이유 없이 죽임을 당한 채, 지하 광산이나 이름 모를 산속에 버려졌다. 그나마 진실화해위원회가 일부 유해와 유품을 수습해 충북대에 임시 안치했으나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이 종료된 후에는 국가 차원의 아무런 후속조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국가가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마땅히 가져야 할 법적․정치적 책임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조차 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뤄내 인권국가로 발돋음하기 위해서는 국가폭력에 의해 희생된 분들의 진상규명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공동조사단 관계자는 "이에 지속적인 유해 발굴을 통해 민간인학살 사건의 실상을 기록하고, 하루속히 국가가 나설 수 있도록 강력하게 촉구하고 요구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국민들 또한 힘과 지혜를 모아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