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전주, 정읍, 완주 등 3개 시·군 일원 3개 지구(융복합소재부품, 농생명융합, 사업화촉진지구), 총면적 18㎢에 농생명 융복합과 탄소 등 융복합소재부품산업을 특화분야로 선정해 특구로 지정할 계획이다.
◇특구 지정 추진경과 및 향후 계획 =전북도는 2010년 3월에 제출한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계획을 보완해 2013년 10월 미래부에 수정계획서를 제출했다. 미래부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TFT를 구성 지난해 3∼11월까지 심도 있는 검토를 벌였다. 지난해 11월 미래부 전문가 TFT 최종회의에서 타당성 검토결과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의 타당성과 당위성이 입증됐다.
이에따라 전북도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관련 행정절차 이행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개발계획 수립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추진 중이다. 그동안 미래부 전문가 TFT 및 주민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 등을 반영해 특구 육성종합계획 최종안을 미래부에 공식 제출하게 됐다. 도는 올 상반기 중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목표로 관련 행정절차를 신속히 추진 중이다.
◇지정 효과 =전북연구개발 특구가 지정되면 이 지역에 있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의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및 창업지원을 위해 매년 국비 100억여원을 투입, 2030년까지 8조 6000억원 정도의 생산유발 효과와 2만1000명 가량의 고용유발을 통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TFT회의 개요 및 취지 =전북도는 올 안에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해 학계, 관련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지원 TFT를 구성키로 하고 13일 '지원TFT 킥오프(Kick-Off) 회의'를 개최했다.
지원TFT는 도 경제산업국장을 단장으로 3개 분과 15명으로 구성해 특구지정 시까지 운영된다. 3개 분과는 전북특구 지정을 총괄하는 총괄(육성)분과, 개발계획 수립과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용역 수행을 지원하는 개발 분과와 환경 분과로 구분했다.
도는 이날 지원TFT 위원들에게 분과별 역할과 지원 및 협조를 요청했다. 지원TFT위원들도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등 최근 전북특구 지정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가 TFT회의에서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