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 대상은 도내 농어촌 지역에 신청일 현재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농업인 중 대학생(방송통신대학 등 원격대학은 제외) 자녀가 있는 농업인으로, 주소지 관할 읍·면·동 사무소에 재학증명서(직전학기 성적증명서 포함)를 첨부해 신청하면 된다. 농업인자녀 대학생 학자금은 무이자, 무담보로 등록금 전액을 융자해 주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와 시·군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한국장학재단의 농어촌출신 대학생 융자에 우선 신청토록하고 탈락자들을 대상으로 도가 지원할 방침.”이라며 “신청대상자는 한국장학재단 농어촌융자의 심사 결과 탈락을 확인하고 도에 융자신청을 하면 된다.”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2만2,111명을 대상으로 764억 원을 무이자 융자 지원해 왔다.
대학생 학자금 융자 금액은 등록금(입학금, 수업료, 기성회비 등) 내에서 신청액 전액을 무이자로 융자 지원하며, 융자금 상환조건은 2년제 대학은 4년 거치 2년 균분상환이며, 4년제 대학교는 6년 거치 4년 균분상환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주소지 관할 시·군(읍·면·동) 농정관련 부서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도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내달 30일부터 3차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신입생은 한국장학재단 농어촌융자를 우선 신청(2.23.~2.27.)해야 한다. 신청방법은 홈페이지(www.kosaf.go.kr)에 신청서를 작성한 후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도 관계자는 “도와 시·군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한국장학재단의 농어촌출신 대학생 융자에 우선 신청토록하고 탈락자들을 대상으로 도가 지원할 방침.”이라며 “신청대상자는 한국장학재단 농어촌융자의 심사 결과 탈락을 확인하고 도에 융자신청을 하면 된다.”라고 말했다.
대학생 학자금 융자 금액은 등록금(입학금, 수업료, 기성회비 등) 내에서 신청액 전액을 무이자로 융자 지원하며, 융자금 상환조건은 2년제 대학은 4년 거치 2년 균분상환이며, 4년제 대학교는 6년 거치 4년 균분상환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주소지 관할 시·군(읍·면·동) 농정관련 부서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도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내달 30일부터 3차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신입생은 한국장학재단 농어촌융자를 우선 신청(2.23.~2.27.)해야 한다. 신청방법은 홈페이지(www.kosaf.go.kr)에 신청서를 작성한 후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