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비정규직 증가는 국가경쟁력의 약화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정규직 가운데 20대의 비중은 17.9%에 달했다. 은퇴 시기를 지난 60세 이상 계층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비정규직 비중이 늘어난 계층이다.
특히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이더라도 2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이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직장에 정규직으로 채용된다면 비정규직으로 첫발을 내딛는 것이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비정규직 이동성 국가 비교'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 비정규직이 1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11.1%로 10명 중 1명 정도일 뿐이었다.
7명은 계속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었으며 2명은 아예 실업 상태로 떨어졌다.
고용이 불안정하다 보니 청년층의 평균 근속기간은 감소하고 이직 경험은 늘어나는 추세다.
2004년만 해도 청년층은 첫 일자리에서 평균 21.4개월 일했으나 작년에는 18.8개월로 2.6개월 줄었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2011년부터 4년 연속 감소했다.
김두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첫 일자리는 앞으로 사회활동의 기준점이 되는 데다 업무능력 습득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며 "비정규직이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년층의 비정규직 확산은 국가경쟁력 약화까지 이어진다.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의 65%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제적인 요건이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에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는 청년층이 양산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의 사회상을 미리 볼 수 있다는 일본의 경우에도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보다 결혼하는 비율이 절반 수준에 그친다. 일본 정부의 설문조사 결과 30~34세 남성의 결혼율은 정규직이 59.6%지만, 비정규직은 30.2%에 불과했다.
이 관계자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근로조건 등의 격차를 줄이거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회적 대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청년 고용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