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은 18일 ‘중소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확산 방안’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지난해 8월 기준 10.8%로 조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5.4%로 나타났으며 △네덜란드(39.2%) △영국(24.3%) △독일(22.5%)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2015년 정부가 시행하는 정부 지원정책을 고려할 시 신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도입하겠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1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인원은 기업당 평균 8명으로 직종별로는 생산기능직(12명), 서비스직(9명)에 대한 수요가 높고, 선호 채용대상은 △선호집단 없음(52.3%) △40~50대 퇴직 장년층(22.7%) △경력단절 여성(13,6%)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소기업의 시간선택제 확산을 위한 시급한 정부 지원으로 △전일제 수준의 시간당 임금·복지·승진기회 제공 법규 관련 우려 완화(23.0%) △상용형 고용으로 인한 인력 운용 애로 해소(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소기업이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지 않는 이유는 △적합한 직무가 없기 때문(48.0%) △업무연속성 저하에 따른 생산성 감소 우려(19.1%)로 조사됐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국내 일자리의 87.7%를 창출하는 중소기업의 참여가 중요하므로 정부 지원 정책도 이를 위한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생산기능직 및 40~50대 중장년 퇴직인력의 고용 수요 확대에 대비하고, 상용형 고용 등으로 인한 고용경직성 확대에 대한 우려를 상쇄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