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내 전국 17개소에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을 완료해 창조 생태계 환경을 확산하고, 기존 한국의 ‘실리콘 밸리’로 꼽히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게임 등 콘텐츠 창작 역량이 집중된 게임클러스터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혁신센터는 정부와 지자체, 대기업이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는 핵심사업을 발굴·육성하는 사업으로 이미 지난해 대전(SK), 경북ㆍ대구(삼성), 전북(효성) 등이 문을 연 바 있다.
올해 완성될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서울의 문화(CJ), 경기의 IT(KT), 인천의 항공(한진), 울산의 조선(현대중공업), 광주의 자동차(현대자동차), 부산의 유통(롯데), 경남의 기계(두산), 충북의 바이오ㆍ에너지(LG) 등이 있다.
국내 포털업계의 ‘양대산맥’인 네이버와 다음도 각각 강원과 제주에 IT 서비스를 위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조성한다.
미래부는 이들 센터에 창업기업 등에게 자금지원과 투자, 마케팅, 판로 개척, 해외 진출까지 ‘원스톱(One-Stop)’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센터 내에는 ‘파이낸스 존’을 설치,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산업 및 기업은행, 정책금융공사 등 5개 정책금융기관 전문인력이 상주하며 창업 중소기업에 대한기술금융도 안내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펀드’도 올해 17개 지역에서 모두 6000억원까지 늘어난다.
미래부는 또 성공한 벤처기업들이 모여 있는 판교에 창업지원, 산학연 연구지원, 첨단 비즈니스 인프라를 보완해 창업과 융합이 활성화되는 이른바 ‘창조경제밸리센터’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국내 10대 게임업체 중 7개가 판교에 몰려 있는 만큼 이 같은 게임 인프라에 창업 지원기능을 더한 ‘게임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서울 홍릉에는 한국형 경제발전 경험 공유·협력 등을 위한 ‘글로벌 창조지식과학단지’가 만들어진다.
미래부는 글로벌 ICT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산업에 ICT를 접목하는 ‘창조비타민 2.0’ 과제를 확대하고, 소프트웨어(SW)·사이버 보안산업도 육성한다.
이를 위해 창조 비타민 2.0을 지난해 57개에서 올해 90개로 확대하고, 스마트·친환경 등 핵심소재 부품 개발에 2017년까지 24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정보통신기술(ICT) 핵심기술 선점을 위한 선도형 R&D에는 올해 7040억원을 투자하고, ICT R&D 부문에 ‘패스트 트랙’(Fast-Track) 제도를 도입해 기획부터 지원까지 기간을 현재 1년에서 3개월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SW)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글로벌 전문기업을 작년 20개에서 2017년 50개로 늘리고 유망 디지털콘텐츠 기업을 위한 펀드를 작년 1000억원에서 올해 2000억원으로 확대하는 한편, 공공사업의 민간시장 침해 여부를 사전 검증하는 SW영향평가제도를 6월에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래부는 과학기술·연구개발 분야에 총 2조8000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산업과 기후변화 대응 핵심기술, 나노기술, 재난·안전산업 분야에서 기술력과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