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한국사회도 다문화로 변모하고 있다.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수는 2003년 68만여 명에서 10년이 흐른 2013년 두 배가 넘어 142만여 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외국인들과 이웃으로 살아가는 시대이다.
이 가운데서 중국동포들은 가장 뚜렷한 밀집거주 형태를 보이며 현지 지역경제와 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대림동과 가리봉동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일부에서 지역주민과 섞이지 못해 '그들만의 사회'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있다. 혐중(嫌中) 정서를 극복하기 위해 다문화정책의 근본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하지만 나머지는 여전히 법적으로 중국 여권을 가졌다. 한국과 중국의 양쪽을 쉽게 오가면서 생활하려는 전략적 차원이기도 하다. 이들 대다수는 영등포, 구로구, 금천구 등지에 살면서 삶을 영위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동포들이 그들만의 긴밀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뿐 여타 주민과 공생은 커녕 대화의 창구 조차도 단절됐다는 점이다. 그렇다보니 소득 및 경제적 수준이 상당히 향상됐지만 아직 이웃으로 당당히 인정받고 살아가는 게 가장 우선의 바람이다. 다시 말해 차별없이 존중받기를 원하는 게 공통된 목소리다.
전문가들은 일반 외국인과 다른 맞춤형 정책이 시급하다고 제언한다. 동포라는 특수성을 충분히 인정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당장 외국인으로 취급 당하며 받는 정서적 반감을 해소하는 인식의 전환이 시급한 때이다. 기존 다문화정책의 기본 틀은 유지하되 차별화시킨 지원 마련이 바로 그것이다. 장기적으로 국내 중국동포를 전담하는 독립된 인적·제도적 장치 준비가 필요하다.
아주대학교 양한순 사회학과 교수는 "중국동포와 한국인 주민간 소통 및 공생은 지역사회의 발전뿐만 아니라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가는데 매우 절실하다"며 "국내 중국동포들은 경제기반, 문화적응, 주거환경 등 여러 면에서 발전을 보이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성공적 사회통합 사례로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