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고 붙이는 조각모음을 통해 비대해진 사업부를 축소하고 B2B 영업력을 강화한 것이 골자다.
삼성전자는 10일 정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3명의 대표이사가 이끄는 CE(TV·가전)·IM(IT·모바일)·DS(반도체·부품)의 3대 사업체제는 유지했다. 대신 현장 조직을 강화하고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소폭의 변화를 줬다.
콘텐츠·서비스를 담당해온 MSC의 무선 관련 기능은 무선사업부로, 빅데이터 센터는 소프트웨어센터로 이관했다. 또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에 있는 MSCA(MSC America)도 북미총괄로 흡수됐다.
해외 조직도 CE 사업 중심의 뉴저지 소재 SEA법인과 IM 사업 중심의 댈러스 소재 STA 법인을 SEA법인으로 단일화해 뉴저지에 통합 본사를 운영키로 했다.
전사조직인 글로벌B2B센터도 사업조직 안으로 흡수됐다. B2B영업 실행 기능은 무선사업부로 전진배치됐고, 전략 기능은 글로벌마케팅실로 이관했다.
삼성전자는 B2B영업을 무선사업부로 이관함으로써 '모바일 B2B 일류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지속적으로 해외 판매법인의 B2B인력을 보강하고, 조직 확충을 통해 B2B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TV와 휴대폰 1등 DNA를 보유한 영업조직은 핵심역량이 지속 발휘될 수 있도록 기존 조직의 틀을 최대한 유지한 반면, 중복기능은 통합해 운영 효율을 높이고 자원은 재분배해 사업경쟁력을 제고할 방침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돈주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과 이철환 개발실장이 물러남에 따라 새로 보직인사를 단행했다. 글로벌마케팅실장 겸 글로벌B2B센터장이었던 김석필 부사장이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을 맡는다. 또 무선사업부 기술전략팀장인 고동진 부사장이 개발실장 자리로 이동했다.
해외 지역에서는 10개 지역총괄 중 2개 총괄이 자리를 이동하는 소폭의 보직인사가 이뤄졌다. 엄영훈 생활가전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이 구주총괄, 홍현칠 중남미총괄 SELA법인장(전무)이 서남아총괄을 맡게 됐다.
DS부문은 조직변화를 최소화하면서 메모리 사업의 고수익 기조를 견실히 유지하고, 시스템LSI 사업체질 개선을 통해 사업 재도약 기반을 마련하는데 집중키로 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정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 실시로 본격적인 도약을 위한 재정비 작업을 마무리해 경영목표 달성에 매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