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가 1년간 번 돈으로 빚을 상환할 수 있는 여력을 보여주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 9월말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인 137%까지 치솟았다.
지난 8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규제를 완화한 이후 가계 빚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소득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9월말 현재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37%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2%포인트 남짓 상승한 수치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0년 128%에서 2011년 131%, 2012년 133%, 2013년 135% 등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가계신용은 은행·보험사·연기금·대부사업자 등 금융사의 대출과 카드사의 판매신용까지 포괄한 통계로 분기말 단위로 집계된다. 지난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1060조원으로 1년 전보다 6.7%나 늘었다.
자금순환표상 개인 부문의 금융부채를 기준으로 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역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기준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가계 뿐만 아니라 소규모 개인사업자와 비영리단체를 포함한다. 최근 김기준 의원실의 추산에 따르면 이 비율은 작년말 160.7%에서 올해 9월 말 기준 164.1%로 상승했다.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월 LTV, DTI 등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면서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지난 9월 말 350조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8.7%나 급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부동산 시장이 비교적 호황이던 2007년 6월(9.4%) 이후 7년3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2금융권에서의 신용대출도 급증하고 있다.
저축은행·신협·상호금융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지난 9월 126조원으로 1년 전보다 12.1%나 늘었다. 2년6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특히 2금융권에서 비교적 우량한 고객들이 은행으로 빠져나가면서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세미나에서 "2금융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은 신용대출을 확대하는 모습도 보인다"면서 "건전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잠재해있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자 미시적인 보완책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미시적인 건전성 감독 정책의 협조가 있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