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국군 전사자 818명 유해 합동봉안식

2014-12-04 11:20
  • 글자크기 설정

정홍원 국무총리 주관…전국 27개 지역에서 발굴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정홍원 총리는 4일 6·25 국군 전사자 818명의 유해 합동봉안식에서 "호국영령의 넋을 기리고, 그들이 평안히 영면에 드시기를 기원한다"며 "아직도 가족의 유해를 찾지 못한 전사자 유가족들의 아픔을 해소하기 위해 유해발굴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올해 국립서울현충원에서는 전국 27개 지역에서 발굴된 6·25 국군 전사자 818명의 유해 합동봉안식이 개최됐다.

합동봉안식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전사자를 조국의 품에 안치하는 상징적 의식행사다.

정홍원 국무총리 주관으로 이날 열린 합동봉안식에는 한민구 국방부 장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육·해·공군참모총장, 이영주 해병대사령관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정홍원 총리는 4일 6·25 국군 전사자 818명의 유해 합동봉안식에서 "호국영령의 넋을 기리고, 그들이 평안히 영면에 드시기를 기원한다"며 "아직도 가족의 유해를 찾지 못한 전사자 유가족들의 아픔을 해소하기 위해 유해발굴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해달라"고 말했다. [사진=아주경제DB]


봉안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 해병대 35개 사·여단급 부대가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강원도 양구, 철원, 경북 칠곡, 충북 진천 등에서 발굴했다.

연인원 10만여명이 투입된 발굴작업을 통해 922구의 유해를 찾아냈으며 이 가운데 국군 전사자로 확인된 818구의 유해가 봉안됐다.

국방부는 합동봉안식 이후 유해를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소의 유해보관실로 옮겨 신원 확인 작업에 들어간다.

2000년부터 국군 전사자 유해 8477구를 발굴한 국방부는 유전자 검사에 필요한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 2만9115개를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전사자 101구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