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실질임금 상승률 0%대…6분기 연속 ↓

2014-12-01 07:52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근로자들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6분기 연속으로 떨어져 0%대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가 매달 늘고 있지만, 소비가 살아나지 않아 3분기 실질임금도 마이너스 인상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1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95만800원으로 지난해 294만8552원보다 2248원(0.08%) 늘었다.

이런 증가율은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근로자가 손에 쥐는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뺀 것으로,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떨어지면 가계가 지갑을 닫아 소비가 늘지 않고, 물가 하락으로 경제 활력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작년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 2분기 0.2% 등 6개 분기 연속으로 떨어졌다. 4분기에는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올해 1∼9월 누적 상승률은 이미 0.7%로 떨어진 상황이다.

근로자 전체 평균 실질임금도 조금씩 늘고 있지만, 상용직과 일용직을 분리해 따져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3분기 상용직 실질임금은 1인당 평균 312만1213원으로 1년 전보다 5700원(-0.2%) 줄었다. 임시직은 125만44원으로 3만6506원(-2.8%)이나 감소, 2개 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다.

이에 대해 고용부는 상대적으로 월급이 많은 상용직 수가 늘어나면 상용직·임시직 각각의 실질임금이 줄지만, 전체 평균은 올라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월급이 100만원인 근로자 10명과 50만원인 근로자 10명의 임금 평균은 75만원이다. 100만원 월급이 90만원으로 줄어도 근로자 수가 20명으로 늘어나면 전체 평균은 76만7000원으로 높아진다.

이처럼 상용직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은 기업들이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를 크게 줄이고 있다는 얘기다. 실질임금 기준 특별급여는 3분기 월평균 50만6672원으로 전년 대비 11.1% 줄었다. 

3분기 임시직 명목임금은 1년 전보다 1.5% 하락해 2010년 1분기(-2.4%) 이후 4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2008∼2013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3.2%, 노동생산성은 3.0% 증가했다. 그러나 이 기간 근로자 실질임금은 연평균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최근 몇 년간 근로자들은 생산성을 올린 만큼의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