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27/20141127144135218722.jpg)
배조웅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이사장[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공멸이 아닌 공생, 상생하는 사이가 됐으면 합니다"
배조웅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이사장(사진)은 27일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저발열, 혼합 등 특수 시멘트의 등장으로 가속화됐다 .
원래 특수 시멘트는 댐과 발전소 등 특수 목적 구조물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특수 시멘트는 기존 일반 시멘트나 슬라브 시멘트에 비해 4000~1만원 가량 저렴하다. 그러다보니 특수 목적 구조물 외 아파트나 상가 등에서 사용이 확산되는 추세다.
더욱이 일부 건설사들은 이들 특수 시멘트를 사용해 레미콘을 생산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레미콘 납품단가를 낮춤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 이사장은 "이들 특수 시멘트를 만드려면 그에 맞는 싸이로를 구축하는데 비용이 최소 3억원 이상 든다. 중소기업에게는 당연히 부담"이라고 말했다.
대기업의 무리한 감액요구에 대해서도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는 "대형 건설사들은 평균 3%에 달하는 감액률을 요구하는 게 보통이다. 가뜩이나 상황이 어려운 레미콘 업체들에게는 타격"이라며 "업체들끼리 이런 무리한 요구에 대응하지 말자는 이야기도 나오지만, 거래가 끊길 지 모른다는 우려에 이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여기에 물차나 레미콘 펌핑용 몰탈의 무상 지원, 진입로 보수를 요구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는 갑의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 행위'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