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26/20141126074429149555.jpg)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마감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영권 매각은 성사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인수의향을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소수지분 매각은 무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 매각은 경영권이 주어지는 지분과 재무적 투자만 가능한 소수지분을 따로 매각하는 '투트랙(two-track)' 방식이다.
경영권 매각 지분은 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우리은행 지분 56.97% 중 30%(2억288만3512주)다. 나머지 소수지분(26.97%)은 희망 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 순으로 지분의 0.5%에서 10%까지 매입한다.
국내 자본중 유력한 후보로 꼽히던 교보생명이 인수전 참여여부를 결정하지 못한채 갈팡질팡하고 있고 중국의 대형보험사인 안방보험이 움직인다는 설이 돌지만 실제로 참여할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 지분과 달리 소수지분 매각은 무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 임직원들은 사주조합을 중심으로 거래 기업과 기관투자자 등을 사모펀드로 결성, 오는 28일 이뤄지는 소수지분 입찰에 뛰어든다.
매입 목표 규모는 4천500억원, 지분으로 따지면 3~4%다. 입찰에 참여해 콜옵션(1주당 0.5주를 살 수 있는 권리)을 포함한 소수지분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과거 3차례나 우리금융지주 지분인수를 추진했다 실패한 새마을금고도 소수지분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
새마을금고는 현행법상 상호금융사의 제1금융사 인수가 어려운 만큼 우회적으로 소수지분을 매입해 시너지를 높이는 방향을 고심중이다.
우리은행의 매각 성패가 차기 우리은행장 선임 구도에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애초 이순우 행장의 연임이 무난할 것으로 관측됐으나 현직 임원 가운데 이광구 개인영업본부 부행장이 차기 행장 후보로 급부상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또 이 행장이 지난해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은행장에 선임될 때 제시한 목표가 '민영화 성공'인 만큼, 결과적으로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 매각 실패에 대한 책임을 이 행장에게 묻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