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김장철 성수식품 위반업체 8곳 적발

2014-11-25 14:4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 특별사법경찰과는 김장철을 앞두고 고춧가루, 젓갈류, 절임식품 등을 취급하는 김장용 재료 제조, 판매업소 41곳을 대상으로 특별단속을 실시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8개 업체를 적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들 업체는 유통기한 경과, 밀가루를 첨가한 변조 김장용 향신료조제품, 중국산 고추씨를 섞은 불량 고춧가루, 녹이 슨 기구 및 악취가 진동하는 작업 환경 속에서 생산된 젓갈 등 다양한 형태로 위법행위를 하고 있었다.

특사경에 따르면 기장군 소재 A 업체는 김장용 향신료조제품(일명, 다대기)을 제조·생산하는 과정에서 색깔을 보기 좋게 하거나 중량을 늘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밀가루를 첨가해 생산하면서도 표시사항에는 사실과 다르게 밀가루를 사용하지 않은 것처럼 표시하다가 적발됐다.

금정구 소재 B 업체는 김장용 고춧가루 등을 생산하면서 고추에 포함된 고추씨를 제외하고는 인위적으로 고추씨를 첨가할 수 없는데도 중국산 고추씨를 제조공정에 추가 투입해 불량 고춧가루를 만들다가 이번 단속에 걸렸다.

사하구 소재 C 업체는 젓갈제품을 생산하면서 냉동 원재료를 청결한 장소에서 해동하지 않고, 작업장 바닥에 그대로 방치하여 냉동 원재료에서 나온 핏물이 작업장 바닥에 고여 이로 인한 악취가 진동하는 환경에서 제품을 생산했다. 특히 제조·가공에 사용 중인 기구 및 용기는 녹이 슨 상태로 있어 육안으로 보기에도 극히 비위생적인 상태였다.

게다가, 중국에서 수입한 절임식품을 판매하면서 유통기한이 경과하거나 임박한 제품, 유통 중에 내용물이 넘쳐 용기가 불량해 반품된 제품을 위탁받아 빙초산과 솔비톨 등을 사용해 재가공·생산하고도 아무런 표시가 없는 상태로 보관 및 판매하다가 적발됐다.

사상구 소재 E 업체는 유통기한이 표시되지 않은 전어젓갈 등을 사용하여 김치를 생산해 판매했고, 사상구 소재 F 업체 및 부산진구 소재 G 업체는 제조·생산 공정이 끝나 최종적으로 포장이 완료된 상태의 제품에 표시기준에서 정한 표시사항을 부착하지 않고, 판매를 위해 그냥 무표시 상태로 보관하다 적발됐다.

특사경 관계자는 “고춧가루, 젓갈류 등은 시민들이 김장김치를 담글 때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 시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안전한 먹을거리 제공을 위해 위반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엄정하게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