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25/20141125072101678299.jpg)
여당과 공무원연금 개혁 논의 실무위원회에 참여하려던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이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 잔류를 선택했다. 공노총은 또한 새누리당과 합의한 ‘당·정·노 실무위원회’ 대신 여야 및 정부, 공투본 등이 함께 참여하는 4자 실무위원회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사진은 새누리당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에 대한 100만 공무원 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총력투쟁 선언 기자회견이 열린 지난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 앞에서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 소속 관계자들이 시위하는 모습.[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공노총은 또한 새누리당과 합의한 ‘당·정·노 실무위원회’ 대신 여야 및 정부, 공투본 등이 함께 참여하는 4자 실무위원회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공노총은 24일 오후 서울 용산 공노총 사무실에서 산하연맹 대표자 등이 참가한 가운데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논의한 끝에 공동투쟁본부(공투본) 잔류와 함께 기존 당·정·노 실무위원회에서 야당과 공투본을 포함한 4자 협의체 형태의 ‘여·야·정·노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지난 18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공무원 처우 개선과 관련한 당·정·노 3자 실무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이에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이 공노총의 실무위 참여에 반대하면서 공투본 내 갈등이 심화돼 왔다.
이날 중앙집행위 개최 직후 기자회견을 연 공노총은 “지도부는 기존의 사회적 협의체 구성 주장을 철회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했다”며 “연금문제는 연금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공무원 처우와 관련된 종합적 대책이 함께 다뤄져야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며 공투본 잔류를 공식화했다.
또한 공노총은 기존에 새누리당과 합의한 당·정·노 실무위는 공투본은 물론 야당도 참여하지 않아 제대로 된 논의가 될 수 없다며 새로운 형태의 4자 실무위 구성을 제안했다.
공노촌 관계자는 “여당의 신중치 못한 처신이 어렵게 만들어진 대화 창구를 망가뜨렸고, 결론적으로 실무협의회를 지속할 수 없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대신 공노총은 △기존 '당정노 실무위원회'를 '여·야·정·노 실무위원회'로 확대 개편 △기존의 간사에 안행위 간사(정청래 의원), 정부 주무부처장인 인사혁신처장을 간사로 추가할 것 △위원장과 간사를 제외하고 여·야·정 각 2명씩 총 6명, 공투본 6명으로 구성된 실무위원단 구성 등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공노총의 제안에 새누리당뿐만 아니라 공투본 다른 단체들이 응할지는 불투명해, 공무원연금 개혁 논의가 접점을 찾을지 미지수다. 현재 공투본은 공노총보다 한 발 더 나아가 공무원연금 개혁 논의의 선결조건으로 ‘사회적 합의체’ 구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한국노총, 참여연대는 25일 오전 11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적연금 발전을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