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17/20141117163347582394.jpg)
조현준(왼쪽) 효성 사장과 조현상 부사장
아주경제 김지나 기자= 조석래 회장의 두 아들 조현준 사장과 조현상 부사장이 가진 효성 지분이 아버지의 지분율을 넘어선 가운데 보유 주식의 담보 비율도 80%를 넘어섰다.
회사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 오너 일가가 무리해서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그 돈으로 다시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것이다.
조현준 사장은 앞서 지난 7월 지분율이 조석래 회장 지분율을 넘겼다.
이에 현재 효성의 최대주주는 조현준 사장으로 지분 10.69%를 보유하고 있고, 이어 조현상 부사장(10.34%) 조석래 회장(10.15%) 순으로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조현준 사장과 조현상 부사장의 보유 지분은 조석래 회장 보다 각각 0.54%, 0.19% 씩 많다.
두 형제가 경쟁적으로 효성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보유한 주식의 담보 주식 비율도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조현준 사장과 조현상 부사장의 담보 주식 비율은 보유 주식의 각각 83%, 81%다.
조현준 사장은 1년 전 89%에서 6%포인트 감소했지만, 조현상 부사장은 71%에서 10%포인트 늘었다.
조석래 회장의 현재 담보 주식 비율은 61% 수준이다.
효성 관계자는 "최근 주가가 하락하며 오너 일가는 주가 안정 차원에서 주식을 사들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향후 효성 주가가 추가적으로 하락할 경우 담보로 잡힌 주식이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는 점이다.
담보로 제공한 주식의 주가가 담보 가치 이하로 떨어지면 금융 기관에선 대출자에게 대출금 상환 혹은 추가 담보를 요구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반대매매도 발생할 수 있다.
효성은 최근 업황 악화 및 환율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주가가 연초 이후 현재까지 10% 넘게 하락했다.
올해 3분기 효성은 15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적자로 전환했다. 영업이익과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각각 35%, 5% 씩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