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6일 '원·위안 직거래 체제의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서 "직거래 체제는 한국이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에 협력하고 중국 금융시장에 대한 접근권을 확대하는 이익교환의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이어 "위안화 청산은행 등 순조롭게 진행되는 제도 구축은 역외허브를 위한 필요 조건일 뿐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홍콩과의 차별화 등 난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한국 경제에는 금융사 간 제로섬 게임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지금까지 주로 홍콩을 통해 이뤄지는 국제 자본의 대중 금융투자를 한국으로 끌어들여야 한국의 금융산업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끝으로 "역외허브 도약을 위한 선결조건인 풍부한 위안화 유동성 확보와 관련해서도 무역결제를 통한 위안화 공급에는 예상외로 긴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며 "위안화 조달비용을 낮추는 데에도 당분간 정책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