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질병관리본부의 '우리나라 성인에서 당뇨병 관리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에서 당뇨병 유병률은 9.9%로 남자 10.7%, 여자 9.1% 수준이었다.
65세 이상의 경우 유병률이 21.4%(남자 24.3%, 여자 19.3%)로 높아졌다.
당뇨병 유병자 가운데 의사로부터 진단을 받아서 자신의 질병을 알고 있는 사람은 72.7%(남자 69.2%, 여자 77.0%)였다. 특히 30대와 40대는 2명 중 1명이 자신에게 당뇨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당뇨병으로 치료를 받는 사람의 비율도 전체 당뇨병 환자의 61.4%에 그쳤다.
또 당뇨병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은 7명 중 1명(15.8%)에 불과했고, 남자 30∼50대 환자에서는 일반인보다 흡연율과 고위험음주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은 혈당이 정상혈당보다 높은 만성질환으로, 조사에서는 공복혈당이 126㎎/㎗ 이상이거나 의사로부터 당뇨병을 진단받은 경우, 또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투여 중인 경우를 당뇨병 유병자로 분류했다.
당뇨병은 아니지만 당뇨병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은 공복혈당장애(공복혈당 100∼125㎎/㎗) 비율은 22.2%(남자 25.6%, 여자18.8%)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