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3364만원으로 전년보다 2.1% 증가했다.
이 기간 가구의 평균 부채는 5994만원으로 1년 전보다 2.3% 늘었다. 부채는 금융부채 68.3%(4095만원)와 임대보증금 31.7%(1900만원)로 구성된다.
60세 이상 가구주의 대출도 4201만원에서 4372만원으로 4.1% 증가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가구주의 연령대가 50대일 때 791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 가구가 8995만원으로 수위권이었다. 이어 상용근로자 6624만원, 임시·일용근로자 2541만원의 순이었다.
부채 보유가구의 21.3%가 1000만원 미만, 20.1%가 1000만∼3000만원, 12.9%가 3000만∼5000만원, 9.6%가 5000만∼7000만원, 6.3%가 3억원 이상의 부채를 갖고 있었다.
지난해 기준 가구 평균 소득은 4676만원이고 3151만원을 지출해 1525만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구간별로 보면 전체가구의 68.8%가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했다. 1억원 미만 보유가구 34.6%, 1~2억원 20.6%, 2~3억원 13.5% 등이었다. 10억원 이상의 자산을 가진 가구는 4.1% 였다.
전년보다 1억원 미만 보유가구의 비중은 1.5%포인트 감소했고 4~5억원 보유한 가구의 비중은 0.5%포인트 늘었다. 자산 상위 10%인 순자산 10분위 가구의 점유율은 전년보다 1.0%포인트 감소한 43.7%로 집계됐다. 하위 1분위 가구는 -0.2%를 점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