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국내 연구진이 미세조류가 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이승엽 박사팀과 서강대 정광환·이승엽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결과를 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세조류가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용존 방사성 스트론튬이 대폭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클로렐라, 불가리스 등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할 때 물 속의 탄산이온과 방사성 스트론튬 이온 간 결합을 촉진시켜 탄산광물을 만들게 된다.
물에 녹아 있는 방사성 스트론튬이 광물 고형체로 바뀌면서 9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 및 침전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고 오염수 정화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미세조류를 이용하면 대량의 오염수를 저비용·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엽 박사는 "앞으로 지표수와 해수뿐 아니라 실내 오염수에 햇빛 역할을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인공빛을 쪼임으로써 미세 조류를 활성화시켜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 이달 호에 실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이승엽 박사팀과 서강대 정광환·이승엽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결과를 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세조류가 햇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용존 방사성 스트론튬이 대폭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클로렐라, 불가리스 등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할 때 물 속의 탄산이온과 방사성 스트론튬 이온 간 결합을 촉진시켜 탄산광물을 만들게 된다.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 및 침전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고 오염수 정화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미세조류를 이용하면 대량의 오염수를 저비용·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엽 박사는 "앞으로 지표수와 해수뿐 아니라 실내 오염수에 햇빛 역할을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인공빛을 쪼임으로써 미세 조류를 활성화시켜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 이달 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