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서울·부산·창원·영주시 4곳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고 12일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은 관 주도 사업에서 벗어나 지역주민과 함께 특색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는 새로운 지역개발 프로젝트다. 이번에 사업계획을 승인한 4곳과 천안·청주·공주·군산·순천·목포·광주동구·대구남구·태백 9곳 등 총 13곳이 지난 5월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주민이 주도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쇠퇴상권을 살리는 근린재생형과 도시 경제기반 회복을 위한 경제기반형으로 나뉜다. 부산시의 경우 경제기반형, 서울·창원·영주시는 근린재생형으로 추진된다. 각 사업비는 부산시가 2952억원, 서울 459억원, 창원시 1765억원, 영주시 353억원 등 총 5529억원이다.
지역별 계획을 보면 우선 부산의 경우 과거 한국전쟁 피난민 정착과 항만 운영 등으로 번영했다가 공동화가 나타나는 부산역·부산항 일원을 재정비하고 경제기반을 구축키로 했다.
북항 재개발, 부산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과 연계해 부산역 일원에 ICT·관광·영상 등 산업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한 도시관광 사업을 추진한다. 북항과 부산역·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입주시켜 새 경제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1970년대 봉제산업이 밀집했던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동은 봉제산업 침체와 뉴타운 사업 지연 등으로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커뮤니티 중심으로 주거여건 회복이 추진될 예정이다.
인근 동대문 패션상가 등과 연계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폐·공가를 청년 디자이너 의류상품 제작 등 봉제 작업공간으로 제공한다. 패션상가와 안정적인 판로 구축을 통한 유통 플랫폼도 조성한다.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 중인 한양 성곽을 활용한 마을관광자원을 개발하고 주거환경 개선 및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도 펼친다.
통합창원시 출범 전 옛 마산지역(오동·동서동 등 일원)은 1980년대만 해도 국내 첫 자유무역항인 마산항과 제조업 활황에 힘입어 전국 7대 도시이기도 했지만 공공청사의 이전 및 마산항 기능축소 등으로 인구가 60만명에서 40만명으로 감소하는 등 쇠퇴 양상이다.
선도지역 사업은 이은상·문신 등 지역 예술가가 활동했던 구도심 역사성을 살려 기존 골목길을 창동예술촌·창작공예촌으로 활성화하고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한 공원 조성과 마산항 워터프론트 등을 조성키로 했다.
중앙선과 영동선 철도가 교차하는 영주시는 1973년 영주역 이전으로 원도심(영주1·2동) 쇠퇴가 심화됐다. 국토부는 일제 강점기 및 1950년대 근대 한옥건물 등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을 개선하고 리모델링해 외부 관광수요를 유치할 방침이다.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창출을 위해 생활공예 등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도 육성된다.
국토부는 13곳의 선도지역 중 나머지 9곳도 순차 활성화계획을 승인할 계획이다.
정병윤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 추진해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