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9/20141109090339184950.jpg)
일명 '크리스마스 트리'로 불리는 구상나무 군락이 속리산에서 처음 발견됐다. [사진=국립공원관리공단]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구상나무가 속리산에서도 살고 있는 것으로 처음 확인됐다. 해외에서 일명 ‘크리스마스 트리’로 불리는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토종식물로 해외로 유출된 식물종의 대표적인 사례에 속한다.
9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기후온난화로 분포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구상나무를 10월 초에 속리산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번에 속리산에서 발견된 구상나무는 문장대와 천왕봉 사이 높이 1000m 지점에 흉고직경 8~32cm 크기로 수십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공단은 큰 나무 주변에 어린 나무들도 자라고 있어 자연 번식이 이뤄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흉고직경은 나무 목재 체적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직경을 측정하는 위치며 대개 1.2m 높이지만 예외로 1.3m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김대현 속리산사무소 자원보전과 과장은 “구상나무가 주로 절벽지역에서 자라고 있어 정밀조사가 쉽지 않다”며 “향후 추가 조사를 통해 군락규모와 성장상태 등을 파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우리나라 구상나무를 1998년 위기근접종으로 평가했으며 이후 기후변화로 분포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자 2013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했다.
우리나라에서 구상나무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선정됐으며 분포면적이 급속히 감소하고 자생지 간 거리가 멀어 유전자 교환이 어려운 실정이다.
오장근 공단 보전정책부 부장은 “우리나라 전체 구상나무 보전 차원에서 볼 때 이번에 발견된 속리산 구상나무 군락은 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