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 대중 무역의 20% 이상으로 확대"

2014-11-06 18:20
  • 글자크기 설정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청산은행(교통은행 서울 위안화 청산은행) 출범식에 참석, 격려사를 하고 있다. [사진 = 기획재정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의 중장기적인 비전으로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를 확대하고 금융자산 규모를 늘리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최경환 부총리는 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교통은행의 '위안화 청산은행 출범식'에 참석, 격려사를 통해 "작년 한 해 대중 무역거래량 중 위안화를 통한 결제 비중은 1.2%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위안화 무역결제를 대중 무역의 20% 이상, 금융자산 규모를 역외국가 중 3위권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중국은 한국의 제1 교역국으로 한국이 가장 많은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최대 무역 대상국은 물론 활발한 인적 교류도 이뤄지고 있는 국가"라며 "한·중 양국 모두가 위안화 거래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말했다.

위안화 청산은행이란 중국이 아닌 지역에서 위안화 대금을 청산하거나 결제할 수 있는 은행을 말하며 교통은행은 한·중 양국 정부 간 합의에 따라 지난 7월 중국 인민은행이 지정한 위안화 청산은행이다.

이에 따라 한·중 양국 간 교역 시 중간에 달러화로 바꿀 필요 없이 직접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최 부총리는 "지난 7월 3일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에 위안화 청산은행을 지정한 지 불과 4개월 만에 결실을 이뤄 무척이나 뿌듯하다"며 "오늘 이 자리가 한국에 위안화 금융 중심지를 구축하기 위한 소중한 첫걸음으로 기록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한·중 간 무역규모가 크고 대중 무역흑자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기 위해 기업들의 위안화 무역결제 등 실물거래를 통한 위안화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위안화 거래를 뒷받침하기 위해 △청산은행 출범 등 청산결제체제 구축 △12월 중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위안화적격해외기간투자자제도(RQFII)를 통한 중국 자본시장 투자기회 확대 △전문 투자자 사모시장 개설을 통한 외국인 채권발행 촉진 등을 추진하고 있다.

최 부총리는 "정부는 위안화 무역결제를 통해 국내에 위안화 자금이 축적되고 다시 국내외 시장에 투자되면서 위안화 거래가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국이 위안화 금융 중심지로 성장할 수가 없다"며 "기업과 금융권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