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5/20141105072520208960.jpg)
[사진=아이클릭아트]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637억2000만 달러로 한 달 전과 비교해 6억8000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보유액이 3개월 이상 연속으로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연속 줄어든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7월부터 13개월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다가 올해 8월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미국 달러화의 강세로 보유 외화자산 가운데 유로화, 파운드화 등의 달러화 환산 가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측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8개월 연속 외환보유액이 줄었을 때는 자금 유출이 실제로 일어났지만 지금은 달러화 환산 과정에서 보유액이 준 것으로 집계됐을 뿐이고 감소폭도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자산 유형별로 보면 9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의 91.3%를 차지하는 국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321억8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5억5000만 달러 감소했다. 예치금(5.8%)은 211억8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5000만 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과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은 각각 1000만 달러, 6000만 달러 감소했다. 금은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 달러다.
9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다.
외환보유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3조8877억 달러를 보유한 중국이다. 이어 일본(1조2644억 달러), 스위스(5309억 달러), 러시아(4542억 달러), 대만(4207억 달러), 브라질(3755억 달러)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