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4/20141104133537581516.jpg)
[사진=명동연세이비인후과 제공]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소음성 난청 예방법은?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소음성 난청 예방법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는 자주 조용한 장소에서 귀를 쉬도록 해야 하며 항생제 등 일부 약물은 난청을 초래할 수 있으니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고 복용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청력검사 및 진찰을 받도록 하고 특히 어린이, 청소년들의 경우 보호자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소음성 난청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30대 이하가 전체의 38%로 60대 이상 노년층(17%)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2012년 기준으로 난청 진료 환자 수는 2008년보다 13% 감소했는데, 같은 기간 10대 진료환자는 7% 증가했다.
소음성 난청으로 인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과 한 번에 대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전화로 통화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소음성 난청의 경우 낮은 소리보다 높은 소리가 잘 안 들리는 경우가 많아 '스', '츠' 같은 고음의 소리를 듣기 어렵다. 여자나 아이가 말하는 것을 듣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면 소음성 난청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외에 자가진단 항목으로는 'TV 소리가 너무 크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와 '버스나 지하철에서 이어폰 소리를 줄여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 있다' 등이 있다. 귀에서 지속적으로 이명 현상이 들리는 것도 소음성 난청 증상이다.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요즘 내 증상이랑 비슷하네",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이어폰 대신 해드폰 써야겠다", "10대 소음성 난청 증가, 자주 귀를 쉬게 하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출처 : 대한청각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