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4/20141104095918202752.jpg)
방문규 기획재정부 2차관이 4일 서울 밀레니엄힐튼 호텔에서 열린 민자도입 20주년 기념 세미나에 참석,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 기획재정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방문규 기획재정부 2차관은 4일 "민간투자사업이 '돈먹는 하마'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재정을 절약하는 서포터즈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방문규 차관은 기재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공동 주최로 밀레니엄 서울힐튼에서 열리는 '민간투자제도 도입 20주년 기념 세미나'에 참석, 개회사를 통해 "민간투자야말로 경기활성화와 재정부담 완화의 2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방 차관은 민간투자제도 도입 20년 만에 실시협약 체결 규모 100조원 시대를 연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그동안 민간투자 사업이 물류비용 절감, 교통혼잡 완화 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였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투자 사업이 1998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뤄져 한국 경제가 정상궤도로 복귀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문제 등 아쉬운 점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MRG로 인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지 않으면 민간투자 활성화가 불가능하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MRG 완화 방안에 민간 사업자들이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방 차관은 MRG를 비용보전(CC) 방식으로 변경하고 통행료를 주무 관청이 결정해 5조원 이상을 아낀 거가대로 사업을 사례로 들면서 "이제는 민간투자 사업이 '돈 먹는 하마'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간투자가 재도약하려면 MRG 완화뿐 아니라 사업리스크의 적정 배분, 서비스 분야 등 블루오션 개척, 국민과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준경 KDI 원장은 환영사에서 "국민의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며 "민간투자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