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3/20141103093305249310.jpg)
[사진=아주경제신문DB]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이관섭 제1차관 주재로 한국전력·한국가스·한국석유공사 등 12개 산하기관과 민간 에너지업체 및 경찰청 등 유관기관·외부전문가 등이 참석해 ‘국가주요시설 보안 평가회의’를 개최했다.
국가주요시설인 전력·석유·가스 등 에너지시설은 평시에도 북한의 위협은 물론 테러나 송유관 절도 사건과 같은 사회적 범죄에 대비해야하는 시설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원자력발전소 등 에너지 분야 국가주요시설 방호의 취약점과 방호체계 개선을 위해 올해 5월부터 9월까지 군(軍) 퇴직 전문인력을 방호자문위원으로 위촉, 주요시설을 정밀 진단해왔다.
산업부는 진단결과에 따라 노후감시카메라 교체, 경비인력의 상황조치능력 숙달 등 즉각 보완이 가능한 분야를 우선 조치키로 했다. 아울러 보안태세 향상을 위해 과학화 감시장비 등 400억원 규모의 시설보강 추진에도 나서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총체적인 안전을 추구하는 보안(Security) 개념을 설계, 영상감시·출입통제·경비인력 운용 등을 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이관섭 차관은 이날 회의를 통해 “보안은 시설의 안전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반”이라며 “보안기술 트랜드와 IT역량 등을 접목해서 지능형 통합시스템으로 선진화하고 국가주요시설의 보안체계 표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 유관·산하기관을 비롯해 SK이노베이션·GS칼텍스·S-OIL·현대오일뱅크·대한송유관공사·SK가스·E-1·포스코에너지·GS EPS·삼성토탈 등 민간업체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