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2/20141102213256477151.jpg)
독도 해양쓰레기 수거.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더욱 강화하고 주변해역 환경보전을 위해 올해 해저쓰레기 수거작업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수거작업은 올해 6월 1차에 이어 2차로 지난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229t급 바지선과 100t급 크레인 및 행정선 등 기타 선박 3척의 장비와 전문 잠수부 등 30명의 인력을 투입해 폐어구, 부서진 폐어선 잔재 및 폐건축물자재 등 총 15t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독도 해역 정화사업은 경북도가 해양수산부에 건의해 지난 2007년부터 국비로 추진한 사업으로 2010년까지 수심 0~500m, 수거면적 3만2140ha에 대해 4년간 총 26t을 수거했으나, 2010년 이후 사업이 중단되어 오다가 2013년 ‘제18회 바다의 날’ 기념식에서 김관용 도지사의 ‘독도 해양쓰레기 처리방안 강구’ 현장지시에 따라 해양수산부에 건의, 국비 2억 원으로 100ha에 대해 수거사업을 추진, 17t의 해양쓰레기를 인양·처리했다.
김준곤 도 해양항만과장은 "독도 해역의 해저쓰레기 수거 사업은 단순한 해양생태계 보호 차원의 사업을 넘어 독도에 대한 영유권 확보 및 실질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상징적 측면에서 의미가 큰 사업이다. 내년에도 도 자체사업비 1억 원을 반영, 독도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북도는 수거사업 외에도 지난 4월 독도 주변해역 조업 어선 선주·선장 500여명을 대상으로 독도 주변해역 해양쓰레기 관련 홍보․교육을 실시했으며, 앞으로도 홍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