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3년차인 북한산성 행궁지 발굴조사는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경기도ㆍ고양시ㆍ경기문화재단이 함께 설립한 북한산성문화사업팀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이미 조사가 완료된 내전지, 왕의 집무 공간인 외전지를 대상으로 그 성과를 발표한다.
‘북한지(北漢誌)’(聖能, 1745), ‘만기요람(萬機要覽)’(1808),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 등에는 북한산성 행궁이 대략 130여 칸에 이르는 규모였다고 전하는데, 이번 조사 결과로 문헌 기록의 내용을 수정·보완·검증할 수 있게 되었다.
외전지의 경우, 중심건물은 마루와 좌우온돌방을 갖춘 28칸 규모(내전과 같다)이며, 그 중심축에는 월대·계단·어도·대문지가 일렬로 정렬해 있고, 좌우행각으로 둘러싸여 중심영역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아랫단 외대문지는 외전의 중심축에 외대문이 정렬하고 주변으로 좌우 행랑이 둘러싼 형태임도 확인하였다. 기록에 보이는 외전영역은 처음 축조당시 총 61칸에서 이후 총 74칸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행궁 보수와 수축 등 필요에 따라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는 별도로 북한산성문화사업팀은 이제까지 미공개 되었던 북한산성 행궁지 내전의 최근접 사진을 확보함에 따라 향후 원형복원을 위한 결정적인 고증자료을 얻는 수확도 있었다.
북한산성 행궁지에 대한 발굴은 정비와 복원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고양시는 지난해 내전지의 조사와 올해의 외전지의 조사로 북한산성 행궁 복원을 위한 건축적·고고학적 자료를 충분히 확보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1910년대 행궁의 전체 모습 사진이 잘 보존되어 있고, 이번에 새롭게 확보한 사진으로 건물의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나 있으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여 건물 기초의 원형이 고스란히 잘 보존되어 있어 북한산성 행궁의 원형 복원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향후 고양시는 북한산성 행궁지에 대한 복원과 아울러 북한산성 내의 여타 건물과 성벽에 대한 정비, 복원을 원활하게 추진하여 연 700만 명 이상이 찾는 북한산성을 수도권의 새로운 문화명소로 탈바꿈시키고, 북한산성이 조선 후기의 문화와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역사공간으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계획을 밝히며 “나아가 북한산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도 힘을 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