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14일 오후 2시 자유경제원 회의실에서 ‘다이빙벨 상영 강행 – 부산영화제, 존재이유를 묻다’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다이빙벨은 지난 5일 부산영화제에서 상영 됐다. 또한 영화제에서는 북한 찬양 논란을 불러일으킨 ‘불안한 외출’도 공개됐다.
발제를 맡은 최공재 영화감독은 “국내 최고의 영화제라는 명칭에 어울리지 않는 영화를 상영하면서 스스로 영화제의 위상을 깎아 내리고, 70억원 세금이 들어간 영화제의 주인인 국민들의 요구를 무시하는 영화제로 변질됐다”고 지적하고, “이제 국민들은 부산영화제의 존재여부를 물어야 하고, 부산영화제는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감독은 “표현의 자유라는 핑계는 70억이 넘는 세금으로 공식 행사를 치르는 영화제의 입장은 되지 않는다. 19년 동안 상영을 취소하는 일이 없었다고? 유가족들의 슬픔보다 영화제의 자존심이 먼저인가? 차라리 그 시간에 19년 만에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를 고민해야 되지 않을까?”라며, “체제전복용 다큐멘터리, 대선용 정치영화들, 국가보안법상의 범죄자를 평범한 사람으로 만들어 주는 영화들이 아니라 노란 깡통 ‘다이빙벨’이 문제가 되었던 이유는 국민 정서상으로 건드려선 안 되는 세월호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했다는 것에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들이 만드는 영화의 기본의식은 순수 영화제작이 아니라 ‘운동으로서의 영화’였다. 그들에게 영화는 단지 대중을 현혹하기 위한 투쟁과 혁명의 수단이자, 노동운동의 도구였을 뿐 영화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는 부류였다”며, “그런 그들이 이제 영화계의 부류가 되어 상업영화와 독립·예술 영화계를 비롯한 영화계와 사회 곳곳으로 그람시(최초의 마르크스 주의 이론가)의 명을 충실히 받들어 진지전을 펼쳐갔다”고 주장했다.
이어 “영화계 전반을 완전히 장악하자 그들은 정치적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광우병 촛불집회가 지나고 1년 후, 서울독립영화제에서는 영화와는 상관없는 광우병 촛불 집회 1년을 돌아보는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주영화제에서는 4대강 반대시위와 함께 전주시민을 힘들게 했던 민주노총의 버스파업에 동참했으며, ‘천안함 프로젝트’, 비전향 장기수의 생을 다룬 ‘송환’의 김동원 감독 특별전를 상영하는 등 노골적으로 정치적인 시선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최 감독은 진짜 문제는 그들이 영화계를 완전히 장악하면서, 다른 시선의 영화들이 철저히 외면당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례로 필자의 후배가 영화를 개봉시키려 할 때 포스터가 파랗다는 이유(당시 한나라당의 색깔)로 거부된 적이 있고, 노동자를 살인자로 다뤘다는 이유만으로 개봉을 시켜주지 않은 영화도 있었다는 것이다. 영화제 또한 추구하는 정치성향은 이미 정해져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몇 년 전 전주국제영화제는 ‘민주노총’의 버스노조파업을 영화제까지 끌어옴으로 인해 관객들이 감소하는 악영향을 미쳤지만 영화인들은 미안한 마음 하나도 없이 그저 그들만의 축제를 즐겼다. 민주노총의 술 마시고 행사장에서 행패부리기와 고성방가 등 축제를 방해하는 그들을 옹호하기만 하는 영화인들의 모습은 ‘운동으로서의 영화’로 살아온 그들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며, “그들에겐 ‘운동’이 중요하지 ‘영화’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영화가 상영되는데도 그런 행패를 부리는 같은 영화인으로서의 매너조차도 지키질 않는 행태를 벌이고 지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감독은 “이번 부산영화제의 ‘다이빙벨’이나 ‘불안한 외출’ 논란도 이 연장선상에 있다고 판단된다. 세월호 유가족마저 반대하는 영화를 강행한 것은 ‘표현의 자유’와 ‘영화제의 독립성’이라는 그들의 해명으로는 분명 부족하다”며, “부산영화제가 이런 문제의 영화들을 이번에만 한 것은 아니었고, 기존에도 해군기지 반대를 위한 ‘구럼비 – 바람이 분다’, ‘천안함 프로젝트’ 등 사회성을 가장한 편향적인 영화들을 상영했다. 하지만, 이번 부산영화제의 문제는 이런 정치편향적인 시선과 함께 ‘다이빙벨’을 통해 인간적으로 해선 안 되는 망자와 유가족들에 대한 예의를 져버리는 행동을, 책임지는 사람 없이 영화제의 독립성을 지켜야 한다는 이뮤으로 강행이 되면서 국민들의 요구를 무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들(소수 영화인들)이 영화제의 주인이라 착각에 빠진 부산영화제. 국내최고의 영화제라는 명칭에 어울리지 않는 조잡한 영화를 상영하면서 스스로 영화제의 위상을 깎아 내리고, 70억원 세금이 들어간 영화제의 주인인 국민들의 요구를 무시하는 영화제로 변질됐다”며, “이제 국민들은 부산영화제의 존재여부를 물어야 되고, 부산영화제는 답해야 된다”고 전했다.
한편 토론회에는 최 감독, 이근미 작가, 미디어워치 이문원 편집장, 오현민 영화감독이 참석했으며, 전희경 자유경제원 사무총장이 사회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