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AI‧구제역 막자” 긴장의 끈 다시 바짝

2014-10-01 12:07
  • 글자크기 설정

- 상황실 설치 ‘24시간 신고체제’ 유지…38개 읍‧면‧동 특별관리 -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지난달 24일 전남지역 오리농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충남도가 긴장의 끈을 다시 바짝 조이고 나섰다.
 도는 악성 가축전염병 도내 유입 차단을 위한 ‘AI‧구제역 재발 방지 방역대책’을 수립, 본격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도는 지난달 25일부터 도와 각 시‧군 등에 특별 방역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내년 5월 말까지 24시간 신고체제를 유지한다.
 또 현장 중심의 방역체계를 위해 예찰요원 60명을 동원해 월 2회 전화예찰을 실시하고, 공동방제단 47개소를 동원, 소규모 농가 등 취약지역에 대한 소독 지원에 나선다.

 농장‧도축장‧철새 분변 등에 대해서는 연중 상시 검사를 실시하고, 도내 철새도래지 10곳은 광역소독기 14대를 투입해 매일 집중 소독을 펼친다.
 도는 특히 최근 2년간 AI 검출 지점에서 반경 10㎞ 내 위치한 지역과 AI 중복 발생지, 가금류 밀집지 등 AI 발생 위험성이 높은 취약지역 5개 시‧군 38개 읍‧면‧동 (649농가 704만 마리)을 방역관리지구로 설정, 특별 관리한다.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가금류 등을 반출할 때 이동승인서를 발급받도록 하고, 담당 공무원을 지정해 매주 예찰을 실시하며, 광역소독기 등 소독차량을 총동원해 소독을 실시한다.
 도는 이밖에 계열사 책임방역관리제와 축사별 장화 갈아신기‧생석회 도포 캠페인 등도 중점 추진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거점 스팀세척‧소독시설(2개소)과 가금농가 질병컨설팅 사업을 신규로 도입할 계획이다.

 도는 앞서 광역소독기 등 방역장비 11종 678대에 대한 정비를 마치고, 소독약품 32톤과 생석회 267톤을 확보했다.
 한편 도내에서는 지난 1월 부여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7개 시‧군 26농가에서 AI가 확인돼 74농가 252만 2000수를 살처분 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은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