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농어촌] 올해 체리 수입 최대…밀려나는 국산과일

2014-09-24 13:26
  • 글자크기 설정

농협경제연구소, ​수입체리 소비실태와 국산 과일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0년 전 200t수준에 불과했던 체리 수입량이 올해 1만t을 넘어서면서 최대 수입량을 기록했다. 체리 수입이 늘면서 국산 자두, 포도 등 여름 제철과일의 소비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이 높을수록 수입체리를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수입산 체리 수입량, 소비자의 수입체리 구매실태 및 국산 과일과의 소비대체 가능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우선 체리 수입량은 매년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체리 수입량은 '미국 북서부 체리생산자협회'가 2007년 우리나라에 사무소를 개소하면서 늘기 시작했다. 이시기의 체리 수입량은 2002년 260t에서 2007년 4095t으로 15배 이상 증가했다. 2012년에는 한·미 FTA 발효로 미국산 체리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서 9454t으로 두배이상 늘었다. 올해 1~8월 수입된 체리는 1만3000t이 넘을 정도로 급증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체리는 대부분 미국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2011~2013년 국가별 평균 체리 수입 물량은 미국이 97.6%로 점유율 1위를 자지했다. 뉴질랜드(1.7%), 우즈베키스탄(0.5%), 호주(0.2%)가 뒤를 이었다.

체리[사진=아이클릭아트]


체리는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맛과 크기 등에서 만족도가 높은 과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1~13일 수도권 지역 소비자 409명을 대상으로 수입체리 소비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6.5%(272명)가 올해 수입체리를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전체 응답자의 7월 한달 평균 구매횟수는 1.68회였다.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7월 한달 평균 구매횟수는 2.53회로 나타났다.

월 평균 가구 소득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수입체리의 평균 구매횟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체리 구매 이유로는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272명)의 31.6%가 ‘맛이 좋을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수입체리의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는 체리의 외관(모양, 크기 등)과 맛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가격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체리 속성별 만족도(5점 만점)는 외관(3.64), 맛(3.61), 품질(3.07), 가격(2.88) 순이었다.

향후 구매계획에 대한 조사에서는 올해 수입체리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272명) 중 41.2%가 ‘구매를 늘리겠다’고 답했다.
특히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서 ‘구매를 늘리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체리 소비에 따른 국산 과일과의 소비 대체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수입체리 구매 경험자(272명) 중 37.1%(101명)가 국산 과일 구매를 줄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44.5%(121명)는 아직 국산 과일 구매를 줄인 경험은 없지만 향후 수입체리 구매를 늘리면 국산 과일 구매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올해 수입체리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272명) 중 81.6% (222명)가 수입체리 구매로 인해 국산 과일 소비를 줄였거나, 줄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수입체리 구매로 인해 국산 과일 구매를 줄인 응답자(101명)가 구매를 가장 많이 줄인 품목은 자두(20.0%)였다. 이어 포도(14.0%), 수박(14.0%), 참외(11.0%) 순이었다.

이처럼 체리의 수입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포도, 자두, 수박, 참외 등 국산 여름철 과일 소비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수입체리 소비 확대로 인한 국산 여름 제철과일의 소비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산 과일 소비를 늘리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정준호 농협경제연구소 유통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체리의 수입 증가가 국내산 과일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을 강화하고, 국산 제철 과일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판촉활동 등의 노력, 맛과 편리성 등을 추구하는 최근의 소비 트렌드를 충족할 수 있는 국산 과일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준호 책임연구원은 "체리는 크기나 모양 등과 같은 외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한입에 먹기 편한 크기 등을 선호하는 최근의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이라며 "수입체리의 수요 증가가 국산 체리의 소비 증가로 이어지도록 국산 체리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