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가 25일 발표한 2014년 관용과 신뢰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 결과 관용을 측정한 8개항목에 대한 값을 0~10점으로 변환해 관용지수를 산출할 경우 2012년 3.99점(표준편차 1.99), 2014년 4.05점(표준편차 1.82)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신뢰수준은 2012년에 비해 낮아졌다.
‘처음 만난 사람을 어느 정도 믿는 편이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2012년 응답자의 39.5%가 믿는다고 답했지만(매우 믿는 편이다 3.0%, 믿는 편이다 36.5%) 올해는 응답자의 31.4%가 믿는다고 답했다(매우 믿는 편이다 1.5%, 믿는 편이다 29.9%).
센터는 관용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응답자가 가장 싫어하는 집단을 선택하게 하고 직책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질문하면서 공공연설, 가두행진, 학교 일일교사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 물어 응답자의 관용수준을 측정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75.7%가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집단의 구성원이 국회의원 직책을 수행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동의하지 않는다 41.4%,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34.3%).
74.5%는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집단의 구성원이 판사 직책을 수행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고(동의하지 않는다 41.4%,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34.3%) 67.1%는 공무원 직책을 수행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동의하지 않는다 40.3%,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26.8%).
정치사회활동을 묻는 질문에 대해 56.9%는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집단이 공공연설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35.5%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8.1%는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집단이 가두행진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고(매우 필요하다 22.2%, 필요하다 35.9%) 52.1%는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집단이 학교 일일교사를 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매우 필요하다 21.9%, 필요하다 30.2%).
응답자에게 한국사회의 다양한 정치사회집단 중 민주노총, 전경련, 전교조, 뉴라이트, 참여연대, 반미세력, 반공세력, 조선족, 탈북자, 동성애자, 외국인노동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0-10점(매우 싫어한다 0, 매우 좋아한다 10)으로 평가하도록 한 결과 호감도가 가장 낮은 집단은 동성애자(2.47점), 반미세력(3.02점), 뉴라이트(3.19점) 순이었다.
이어 전교조(3점대), 민주노총(3점대), 전경련(4점대), 조선족(4점대), 반공세력(4점대), 참여연대(4점대), 외국인노동자(5점대), 탈북자(5점대) 순이었다.
2012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2014년 한국사회의 정치, 사회, 경제 불안감은 모두 높아졌다.
‘우리 사회가 정치적으로 얼마나 불안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2012년 응답자의 79.1%가 불안하다고 답했고 올해는 응답자의 85%가 불안하다고 했다.
사회적 불안은 2012년 응답자의 74.1%가 불안하다고 했고 2014년 응답자의 80.3%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경제적 불안은 2012년 응답자의 77.3%가 불안하다고 답했고 2014년 응답자의 81.6%가 불안하다고 했다.
관용수준 2012년과 비교해 볼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신뢰수준은 낮아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0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가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리서치 앤 리서치(R&R)에 의뢰해 실시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비례할당한 후 RDD 방식으로 생성한 유무선 전화면접을 통해 실시했다.
95%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3.1%p이다.
조사목적은 관용과 신뢰에 대한 시민의식수준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조사내용은 8개 항목에 대한 관용수준(공공연설, 가두행진, 학교 일일교사, 공직출마, 핸드폰 도청, 국회의원·판사·공무원 직책수행),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수준, 한국사회 정치사회집단들에 대한 호감도 등이다.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이자 국무조정실 지정 갈등관리연구기관으로 한국사회 공공갈등의 효과적인 관리와 합리적인 해결을 위한 다양한 학문적, 실천적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현재 1000건이 넘는 공공분쟁사례를 축적해 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고 매년 '관용과 신뢰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와 ‘갈등과 분쟁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