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을 비롯해 금융권 전체의 노사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불거진 각종 사건·사고를 비롯해 금융당국의 관계자 징계로 1년여간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했던 국민은행이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조기통합을 추진하는 하나금융지주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은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가 다음달 초 총파업을 계획하고 있어 은행권 전체가 몸살을 앓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노조 총파업은 사용자 측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사용자협의회)의 교섭 결렬에서 비롯됐다. 금융노조는 그동안 △임금 6.1% 인상 △비정규·무기계약직 차별 철폐 △여성할당제 시행 △정년연장 △통상임금 확대를 요구해왔으나 사용자 측은 금융산업 악화 등의 이유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는 지난 4월 10일 제1차 산별중앙교섭 이후 3개월간 총 18차례 교섭에 나섰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한 끝에 지난달 3일 금융노조가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이후 중앙노동위원회 쟁의행위 조정 역시 최종 결렬됐다. 오는 26일 찬반투표 결과에 따라 금융권 전체가 총파업에 나서는 것은 2007년 이후 14년 만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임영록 KB금융그룹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에 대한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 제재 수준이 경징계로 감경됐으나 이들의 사퇴를 요구하는 국민은행 노조(금융산업노동조합 국민은행지부)의 극심한 반발에 직면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제재심의 결과가 발표되자 결정 원천 무효 및 최수현 금감원장의 거부권 행사를 요구하고 있다.
외환은행 역시 하나은행과의 조기통합 논의 및 외환카드 분사와 관련해 노조와 갈등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조기통합에 대한 내부 의견 및 외환카드 분사를 위한 전산시스템 분리 이행 여부 등을 두고 연일 여론전을 거듭하고 있다.
조기통합의 경우 외환은행 노조의 동의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 역시 두 은행의 통합 필수요소로 노조의 동의를 꼽은 바 있다. 그러나 노조는 지난 2012년 인수 당시 '노사정 합의 위반'을 근거로 협상테이블에 나서고 있지 않다.
이에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최근 통합선언문을 발표하며 이달 중 각각 이사회를 개최해 통합 결의 및 계약서 승인을 거쳐 통합추진위원회를 출범키로 했다. 노조의 대화 거부로 통합 논의가 고착상태에 빠지자 노조의 동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 대한 준비를 마무리해놓겠다는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각 은행별 현안도 상당히 비중이 큰데다 금융노조 산별교섭 결렬과 관련된 투쟁까지 겹치면서 예년에 비해 노사갈등이 장기화되는 것 같다"며 "금융노조 총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고객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