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장애 진단법으로 미리 예방하자는 움직임이 커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틱 장애’로 진료 받은 사람은 2009년 1만6000명에서 지난해 1만7000명으로 연평균 1.9% 소폭 늘었고, 같은 기간 진료비는 연 12.3%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소아·청소년이 대부분을 차지해 지난해를 기준으로 10대가 45.3%, 10대 미만이 37.1%로, 전체의 82.4%가 20대 미만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환자 수도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78.8%로 훨씬 많았다.
틱 장애는 정신과적 문제가 동반되는 질환으로, 얼굴 찡그리기, 눈 깜박임, 기침하기, 몸냄새 맡기, 손 흔들기 등 ‘운동틱’과 저속한 언어를 말하거나 말을 따라 하는 ‘음성틱’으로 구분된다.
틱장애 진단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틱장애인 지 아닌지 진단할 수 있다. 틱장애란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이상한 소리를 내거나 얼굴이나 목, 어깨, 몸통 등의 신체 일부분을 아주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다양한 운동틱과 음성틱 증상을 모두 나타내며 18세 이전에 발병해 1년 이상 이어지는 틱 장애는 ‘투렛 증후군’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