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감사원이 30일 검증결과를 발표한 '로봇물고기'(생체모방형 수중로봇) 사업은 지난 2009년 11월 27일 생중계된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홍보영상 형태로 처음 소개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4대강과 그 지류 등에 보와 댐을 설치해 정비하는 내용의 4대강 사업을 추진하다 환경파괴 논란에 휩싸이자 대안으로 수질조사용 로봇물고기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강릉 원주대,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4개 연구기관은 산업기술연구회로부터 57억 원을 지원받아 2010년 6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로봇물고기 개발사업을 진행했다.
애초 1m 정도로 고안됐던 로봇물고기의 크기를 줄이라는 이 전 대통령의 지시 때문이었다.
이 전 대통령은 2010년 5월 5월 청와대 참모들로부터 로봇물고기 개발 사업을 보고받은 뒤 “너무 커서 다른 물고기들이 놀란다”며 크기를 줄이라고 지적했다.
이 전 대통령은 특히 “기능을 나눠서 여러 마리가 같이 다니게 하면 되지 않느냐”며 편대유영 기술개발까지 제안했다.
결국 로봇물고기의 크기는 한 대당 45㎝로 결정됐고, 1마리가 아닌 3∼5마리가 그룹을 지어 수질을 측정하도록 계획이 바뀌었다. 측정된 수질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송신하는 기능도 갖추도록 추진됐다. 마리당 가격은 2500만원 선에서 책정됐다.
청와대는 애초 2011년 10∼11월께 4대강에 로봇물고기를 풀어넣고 양산 체제가 갖춰지면 수출도 추진할 방침이었으나 개발사업이 이보다 늦어져 생산기술연은 지난해 7월에야 최종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러나 로봇물고기 크기를 줄이면서 수질 개선을 위한 탁도 측정센서 등을 장착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이 그동안 제작된 로봇물고기를 직접 테스트한 결과, 유영속도의 경우 1초에 2.5m를 헤엄쳐야 하지만 감사원 테스트에서는 23㎝밖에 나아가지 못하는 등 모두 불량품인 것으로 드러났고, 로봇물고기에 수온·산성도·전기전도도·용존산소량·탁도 등 5종류의 생태모니터링 센서를 장착할 수 있어야 하지만 탁도 측정센서는 장착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수중 통신속도나 거리도 사업계획서에 명시된 목표치에 미달했고 그동안 제작된 9대의 로봇물고기 가운데 7대는 고장난 상태였다.